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박성훈의원실-20251010] 수출입은행_한계·부실기업_141곳에_3조9천억_대출

<수출입은행 한계·부실기업 141곳에 39천억 대출>

-최근 6년간 부실 발생 28천억연체율 다시 상승세

-구조조정 기업 87, 한계기업 141

-박성훈 의원,“연체율 반등은 잠재적 부실 확대 신호, 잠재 부실 선제적 진단 필요


한국수출입은행의 한계·부실기업 여신 규모가 4조 원을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 잔액도 12천억 원을 넘어섰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부산 북구을)이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에 대출을 받고 있는 한계·부실기업은 총 141곳으로, 여신 잔액만 39,026억 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대기업이 24,455억 원, 중견기업이 12,853억 원, 중소기업이 1,718억 원으로 파악됐다.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한계기업은 총 141곳으로, 대기업이 15, 중견기업이 73, 중소기업이 53곳 등이었다.

 

기업 구조조정 현황도 적지 않다. 8월 기준 수출입은행 여신을 이용하는 기업 87곳이 구조조정에 들어갔으며, 자율협약 2, 워크아웃 6, 회생절차 23, 파산 6곳 등으로 나타났다.

 

건전성 지표도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8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2,213억 원, 비율은 0.89%로 집계됐다.

 

최근 6년간 부실채권 발생액은 202111,909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2023년에도 6,668억 원이 발생하는 등 하락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연체율도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연체 잔액은 20211759억 원(1.39%)에서 20233,365억 원(0.40%)까지 줄었지만, 지난해 3,592억 원(0.40%)에 이어 올해 8월 말 현재 4,659억 원(0.53%)으로 늘었다.

 

박성훈 의원은 과도한 한계기업 여신과 연체율 반등은 잠재적 부실 확대의 신호라며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최근 6년간(2020~2025.8)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발생 현황>

(단위 : 억원, %)

구 분

‘20

‘21

‘22

‘23

‘24

‘25.8

부실발생 금액1)

4,502

11,909

2,776

6,668

2,223

114

부실발생 비율2)

0.45

1.11

0.22

0.53

0.16

0.01

1) 부실발생(고정이하) 차주 앞 당해 연도()말 여신잔액(고정이하 여신)

2) 부실발생 금액 / 당해 연도()말 총여신잔액

 

<‘25.8월말 현재 이용 법인 중 구조조정에 들어간 현황 및 내역>

 

자율협약

워크아웃

회생절차

파산절차

기타 부실

합계

기업 수

2

6

23

6

50

87

 

<‘25.8월말 현재 한계기업 현황 및 내역>

(단위 : , 억원)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개수

여신잔액

개수

여신잔액

개수

여신잔액

개수

여신잔액

15

24,455

73

12,853

53

1,718

141

39,026

 

<‘25.8월말 현재 연체 현황 및 추이>

(단위 : 억원)

구분

`21년말

`22년말

`23년말

`24년말

`25.8

연체 잔액

10,759

6,846

3,365

3,592

4,659

연체율

1.39%

0.79%

0.40%

0.40%

0.53%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