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이상기후가 남긴 재난가격표, 최근 5년간 재산피해 3조 원, 인명피해 1만 6천여 명에 달해
- 재난의 일상화, 국민의 삶과 재산을 위협하는 이상 기후 피해 심각
- 유동수 의원,“ 폭염, 폭우, 폭설 극단적인 이상기후의 뉴노멀화,사후 복구에 그치지 않는 선제적 대응 필요 ”
최근 5년간 이상기후로 인한 재산피해가 3조 원, 인명피해는 약 1만6천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동수 의원(제20대·제21대·제22대 인천계양갑,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경제수석부의장)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이상기후로 인한 재산피해 규모는 약 3조 1,402억 원에 달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 444억 원에 불과했던 피해 규모는 2022년 3,480억 원, 2023년 7,875억 원으로 뛰었고, 2024년에는 8,403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는 8월 기준 이미 1조 1,200억 원을 넘어 연말까지 역대 최대 피해 규모를 기록할 전망이다.
물적 피해와 더불어 인명피해도 막대했다. 최근 5년간 누적 인명피해 규모는 사망 290명, 부상 15,957명, 실종 7명을 포함해 총 16,254명에 이른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이상기후 관련 인명피해는 2021년 1,812명에서 2022년 1,894명으로 소폭 증가하고, 2023년에는 3,318명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어 2024년에는 4,544명, 2025년 9월 기준 이미 4,786명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위기의 가속화로 이상기후의 빈도와 강도가 커지면서 인명피해 역시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이 가운데 특히 폭염은‘가장 치명적인 기후재난’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1년 1,356명이었던 폭염 피해자는 불과 3년 만에 4,398명으로 3.2배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유동수 의원 “폭염, 폭우, 폭설 등 극단적 기후 현상이‘뉴노멀’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며“기후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의 삶과 경제,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는 현재진행형 위기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유 의원은“재난 대응은 단순히 사후 복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번 정부조직개편과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을 계기로 범정부적 통합 대응 체계가 구축되고 보다 촘촘한 시스템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당부했다.
※ [붙임]
1. 이상기후 관련 재산피해 현황
2. 최근 5년간 이상기후 관련 인명피해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