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 지상관측장비의 장애가 2021년 대비 2024년 약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개소는 2021년 635개소에서 2024년 640개소로 큰 차이가 없지만, 장애 건수가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기상청의 기상관측시설 환경점검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이 기상청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기상관측장비의 연간 장애 건수는 2021년 330건에서 2024년 600건으로 증가했다. 장애 발생 원인은 센서부, 전원통신부, 자료처리부로 나눌 수 있는데 세부 원인으로는 통신 장비 고장, 습도계·풍속계 등 주요 센서 불량, 낙뢰 피해, 전원 차단기 문제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 현재 우리나라의 기상관측시설은 기상청과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국가기관 5곳, 시군구를 포함한 지방자치단체 17곳, 한국수자원공사 및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 6곳을 합친 28개 기관에서 총 5,248개를 운영하고 있다.
❍ 이러한 기상관측시설에 대한 환경점검은 기상청이 2022년부터 진행하고 있지만 `22년 18건, `23년 101건, `24년 104건, 올해 9월 기준 98건에 그쳤다. 개선이 필요한 시설은 총 85개였으며 이 중 78개 시설이 조치되었다.
❍ 관측장비의 안정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지방청·지청별로 인력을 1~2명을 배치 중이지만 부족한 상황이다. 그리고 기상관측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중에 있지만, 종사자 대비 교육 이수율이 `21년 대비 `23년 증가했다가 올해 6월 기준 다시 감소하는 추세이다.
❍ 김위상 의원은 “기상관측장비의 체계적 관리와 예방점검 확대로 장애 발생을 줄여야 한다”며 “국민 안전과 정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