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국내 카드 대출 연체 규모가 매년 증가하여 역대 최고 수준인 가운데 대부분은 장기 카드대출인 카드론 연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구를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카드 대출 및 연체 현황』을 살펴보면, 2025년 8월말 현재, 카드 대출금액은 총 44조 7,850억원(1,081만 6,000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카드대출 규모를 △단기 카드대출인 현금서비스와 △장기 카드대출인 카드론으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카드 현금서비스 대출액은 5조 4,730억원(452만 6,000건)이며, △카드론 대출은 39조 3,110억원(629만건)이다.
문제는 카드 대출 연체 규모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6년간의 카드 대출 연체 규모를 확인해보면, 2020년 7,690억원(23만 5,000건)⇨2021년 7,180억원(20만건)⇨2022년 8,600억원(24만 9,000건)⇨2023년 9,830억원(26만 5,000건)⇨2024년 1조 940억원(31만 2,000건)⇨2025년 8월말 현재 1조 4,830억원(28만 1,000건)으로 2021년을 기점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이는 연체율 추이를 통해서도 증명되는데, 2021년 1.9%⇨2022년 2.2%⇨2023년 2.4%⇨2024년 2.4%⇨2025년 8월말 3.3%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카드 연체 규모 증가는 전년 동월 대비 비교에서도 확연히 나타난다.
카드 대출 금액은 2024년 8월말 44조 6,650억원인데 반해 2025년 2월말에는 44조 7,850억원으로 0.3% 소폭 증가한데 반해, 연체 금액은 2024년 8월말 1조 3,720억원에서 2025년 8월말에는 1조 4,830억원으로 8.0%나 급증하였다.
국내 카드사별 연체규모를 살펴보면, ①신한카드가 3,670억원(24.8%/11만 7,00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②KB카드 2,350억원(5만 3,000건), ③삼성카드 2,100억원(2만 8,000건), ④우리카드 1,770억원(2만 5,000건), ⑤롯데카드 1,730억원(2만건) 등의 순이다.
대출 대비 연체 비중이 가장 큰 카드사는 ①비씨카드로 22.9%였으며, 다음으로 ②우리카드 7.5%, ③KB국민 5.8%, ④하나카드 5.6%, ⑤신한카드 4.3% 등의 순이다.
지역별로는 ①경기도가 4,180억원(7만 9,000건)으로 카드 대출 연체금액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②서울시 2,740억원(4만 9,000건), ③부산시 1,080억원(2만건), ④인천시 1,070억원(2만 1,000건), ⑤경상남도 840억원(1만 6,000건) 등의 순이다. 즉, 카드 대출 연체의 절반 이상(7,990억원/54.2%)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강민국 의원은 “카드 대출 연체가 매년 급증하여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하고 있음은 결국 은행 대출 문이 좁아지자 취약 차주 계층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도 카드론 대출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는 것이기에 향후 경기회복 지연 시, 카드사 건전성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 당국은 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등에 대한 모니터링 확대와 카드사들에 대한 부실채권의 적절한 상․매각을 통한 연중 변동 폭을 완화하여 안정적인 관리를 적극적으로 지도하되, 서민 자금공급자 역할을 지속 수행토록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금융 당국의 면밀한 리스크 관리를 강조하였다.
< 첨부 : 국내 카드 대출 및 연체 현황 >
2025. 10. 20.
국회의원 강 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