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서천호 의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미세플라스틱·해양열대화 대응 위한 과학기반 국가 예측체계 구축 시급”
서천호 국회의원(국민의힘, 사천·남해·하동,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은 “미세플라스틱과 해양쓰레기는 단순한 환경문제를 넘어 해양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현안”이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국가 차원의 진단·예측 시스템 구축을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매년 남강댐 방류 등으로 대규모 해양쓰레기가 사천만을 비롯한 남해안 일대에 유입되고 있지만, 현재 정책은 수거와 처리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플라스틱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오염물질이 해양에 축적될 경우 결과적으로 장기적인 환경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서천호 의원은 “UN이 2012년에 채택한 ‘호놀룰루 전략(UN Honolulu Strategy, 2012)’에서도 해양쓰레기 관리는 생태계 피해에 기반한 과학적 대응이 핵심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내는 아직도 처리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KIOST가 중심이 되어 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생태적 영향을 진단·평가하는 국가 차원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서 의원은 또 “최근 한반도 해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열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수십 년간 평균 수온이 1.4℃ 상승했다”며 “제주 해역은 2024년 9월 기준 3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기존 어종이 사라지고 열대 어종이 확산되는 심각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열대화는 수산업 기반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위기”라며, “해양환경과 생태계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예측할 수 있는 기술과 데이터를 확보해야만 미래 어업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지금은 과학기술로 해양의 변화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해야 하는 시대”라며, “정부는 KIOST를 중심으로 해양생태계 변동 데이터, 미세플라스틱 확산 모델, 열대화 예측기술 등 국가 연구 역량을 집중해 체계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