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김위상의원실-20251023] 보 개방으로 온실가스 줄이는 소수력발전 중단

 

기후에너지환경부 소관 국정과제에 ‘4대강 재자연화가 포함되면서, 4대강 보()에 설치된 소수력 발전이 위축될 전망이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강 16개 보의 소수력 발전소 건설·시설 투자비와 수리비를 합치면 지금까지 투입된 에산은 20108400만원에 달한다. 이들 발전소는 지난해 205.9GWh(기가와트시)의 전력을 생산해 2567000만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94620t()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정부는 4대강 보 처리 방안을 공론화를 거쳐 개방할지, 해체할지 구체적 방침을 정하겠다는 입장이다. 4대강 사업 설계 단계에서 16개 보의 연간 기대 발전량은 272GWh였지만, 문재인 정부 시절 일부 보의 수문을 열면서 발전량은 이보다 줄었다. 보 개방 전인 2016년에는 온실가스 감축량이 연간 118180t에 달했다.

 

소수력 발전은 순간 최대 출력이 3000kW(키로와트) 미만인 소규모 설비로, 태양광이나 풍력 등 대규모 발전량을 내는 재생에너지에 비해 정책 우선순위에 밀리기 쉽다. 다만 정부가 4대강 재자연화를 추진하면서 소수력 발전을 중단할 경우,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와 모순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위상 의원은 같은 재생에너지가 이념에 따라 가치가 정해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탈탄소라는 정책 목표에 충실하려면 오직 국익을 기준으로 판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