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김승수의원실-20251016] 세계정상들이 모이는 APEC 앞두고 생성형 AI왜곡된 문화유산 바로잡아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10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생성형 AI의 왜곡된 문화유산을 바로잡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지켜가겠습니다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가졌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서는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박기태 대표와 김예래백시은이세연 청년연구원과 함께 생성형 AI속에서 우리의 문화유산이 왜곡된 사례를 소개하며정부의 개선 대책을 요구했다.

 

2주뒤 경주에서 열리는 2025 경주APEC이 2005년 이후 20년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정상회의로 미국중국 등 20개국의 정상들이 방한하기로 예정되어 있는데일부 AI에서는 개최지를 서울로 안내하고 있는 왜곡된 정보를 주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의 이미지를 AI에 요청하면 석굴 자체가 사라진 모습으로 묘사하는가 하면우리 국보인 첨성대 또한 첨성대보다 는 천문대에 가까운 모습을 생성하였다.

 

특히경주APEC의 상징이자 보물인 얼굴무늬 수막새의 경우 이미지 왜곡을 넘어 기괴하기까지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픈 AI가 학습할 수 있는 고증된 데이터가 많이 존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현재 고증된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김승수 의원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인 문화유산에 대한 충분한 고증과 그에 따른 데이터 구축이 시급하다“2주도 남지 않은 경주APEC을 앞둔 상황에서 정부는 조속한 보완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붙임기자회견문 전문

생성형AI의 왜곡된 문화유산을 바로잡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지켜가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국회 문체위 소속 김승수 의원입니다.

 

오늘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와 함께 생성형 AI 속에서

우리의 문화유산이 왜곡되는 문제들을 바로 잡고자

기자회견장에 섰습니다.

 

언론인 여러분들도 잘 아시는 것처럼

반크는 199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오랫동안 민간차원에서 글로벌 한국 홍보대사와

사이버 외교관 역할을 해온 단체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반크가 AI를 통해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들 중

왜곡 수위가 심한 몇몇 사례들을 소개하고

정부의 대책마련을 요청하고자 합니다.

 

먼저 이 자리에 함께하신

반크 박기태 대표님을 소개합니다.

반크의 김예래백시은이세연 청년연구원님을 소개합니다.

 

그러면 반크에서 조사한

AI 오류사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첫 번째, APEC 개최지 오류입니다.

 

2주뒤 경주에서 열리는 2025 APEC은 2005년 이후

20년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정상회의로

미국중국 등 20개국의 정상들이 방한하는데,

일부 AI(클라우드)에서는 개최지를 서울로 안내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외국인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국가 브랜드와 신뢰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큽니다.

 

두 번째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에 대한 오류입니다.

 

일부 AI(Gemini)에서는 석굴암 이미지를

석굴 자체가 사라진 모습으로 묘사하고 있었습니다.


세 번째우리나라 국보인 첨성대입니다.

 

Gemini, Grok, Perplexity(퍼플릭시티) AI에서 형성한 이미지는 첨성대보다는 일반 천문대에 가까운 모습이었습니다.


네 번째우리나라 국보인 천마도입니다.

 

ChatGPT에서는

과거시대의 인물이 말을 타고 있는 이미지가 나왔고,

다른 AI(Grok, Perplexity)에서도 오류투성이었습니다.


다섯 번째경주APEC의 상징이자 보물인 얼굴무늬 수막새입니다.

 

Gemini, Copilot, Grok 에서는 기존의 원형을 전혀 구현하지 못하고

이미지 왜곡이 심한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여섯 번째경주를 검색하면 도출되는 경주의 풍경 묘사입니다.

 

일부 AI(뤼튼)에 경주의 풍경 이미지를 요청했으나

실제 경주와는 전혀 다른 장면이 생성되었습니다.

 

특히 이 이미지는 벚꽃과 함께 일본식 목탑 구조의 특징을 반영한

비현실적인 석조 구조물까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픈 AI가 학습할 수 있는 고증된 데이터가 많이 존재해야하는데,

고증된 데이터 부족이 가장 큰 문제로 밝혀졌습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 이부분에 대해 국가유산청 국정감사에서

문화유산의 AI 왜곡에 대한 문제점과 정책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

다음은 이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한

반크의 청년연구원들의 소감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차례로 자기소개와 함께 소감을 말씀해주시면 됩니다.

(김예래 청년연구원백시은 청년연구원이세연 청년연구원)

 

다음은 반크 박기태 대표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저는 반크의 이러한 노력들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정부차원의 AI 문화유산 검증과 정책 대안을

함께 추진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