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수협, 비어업인 대출 연체관리 시급
매년 연체건수 및 연체금액, 연체율 증가
특히 비어업인에 대한 대출 연체금액은 어업인에 비해 18배
경기침체로 인한 현금흐름 악화, 자영업자 매출부진, 어업인 소득감소로 인해 연체율 상승
서천호 의원, 매년 연체금액 및 연체율 증가에 따른 연체관리 필요
서천호 의원(국민의힘, 경남 사천·남해·하동)이 수협의 비어업인 대출금 연체금액 및 연체율 증가에 따른 연체관리 필요성을 지적했다.
서천호 의원이 수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연체건수가 2021년 3,419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8,876건으로 4년 새 5,457건이 증가했고, 연체금액은 2021년 4,885억원에서 2025년 9월 기준으로 2조7,833억원으로 4년 새 2조2,948억원이 증가했다.
연체자를 어업인과 비어업인으로 구분했을 때, 연체금액이 어업인의 경우 2021년 457억원에서 2025년 9월 기준으로 1,470억원으로 약 3배 증가하였고, 비어업인의 경우에는 2021년 4,428억원에서 2025년 9월 기준으로 2조6,363억원으로 약 6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체사유로는 차주들의 이자상환 여력이 감소 및 경기침체로 가계기업 현금흐름 악화, 자영업자 매출부진, 중소기업 수익성 저하 등으로 한계차주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또한 어업인의 경우에는 기상악화 및 판매부진 등 어업인 소득감소에 따른 1차산업 불황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고 수협은 밝혔다.
서천호 의원은 “수협의 대출연체금액이 5년 전에 비해 약 2조3천억원이 증가했는데, 연체금액의 94.7%가 비어업인의 연체금액으로 나타났다.”면서, “특히 2025년 어업인의 연체율이 2.51%인데 반해 비어업인의 연체율이 9.05%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수협의 재무건전성을 위해 비어업인에 대한 연체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협중앙회 대출 연체현황>
(단위 : 건, 억원, %)
연 도 | 합계 | 어업인 | 비어업인 | ||||||
연체 건수 | 연체금액 | 연체율 | 연체 건수 | 연체금액 | 연체율 | 연체 건수 | 연체금액 | 연체율 | |
2021 | 3,419 | 4,885 | 1.64 | 1,156 | 457 | 0.82 | 2,263 | 4,428 | 1.83 |
2022 | 3,957 | 6,609 | 2.00 | 1,492 | 602 | 1.04 | 2,465 | 6,007 | 2.21 |
2023 | 5,603 | 13,885 | 4.14 | 1,994 | 922 | 1.56 | 3,609 | 12,962 | 4.70 |
2024 | 7,404 | 23,234 | 6.74 | 2,693 | 1,208 | 2.03 | 4,711 | 22,026 | 7.72 |
2025.9 | 8,876 | 27,833 | 7.95 | 3,518 | 1,470 | 2.51 | 5,358 | 26,363 | 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