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서천호의원실-20251029] "부산항 장기계류·방치선박 집중… 해양오염·화재사고 반복 우려”

서천호 의원,“부산항 장기계류·방치선박 집중해양오염·화재사고 반복 우려


서천호 국회의원(국민의힘, 사천·남해·하동,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부산항은 파고가 상대적으로 낮아(정온도가 높아) 피항지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유조선·부선 등 장기계류·방치선박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몰려 있는 항만이라며 일부 선박은 장기간 방치된 채 기름이 남아 있어 침몰·유류 유출 등 해양오염 위험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항 집단계류지(봉래동물양장, 5물양장 등)에는 장기계류선박과 방치선박이 다수 계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항만공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계류 선박 456척 가운데 장기계류선박은 64(14.1%), 방치선박은 5(1.1%)으로 파악됐다. 서 의원은 경제 상황 악화나 선주 부재로 관리되지 않는 선박이 늘어나면서, 정상 운항 선박의 계류 공간까지 잠식되고 있다입출항 과정에서의 추돌, 화재, 오염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서 의원은 현재 부산항 내 장기계류선박은 일부 조정 노력으로 202420.2%에서 202514.1% 수준으로 감소 중이라고 보고됐지만, 관리 체계 자체는 여전히 이원화돼 있다고 지적했다. “계선신고와 행정대집행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항만시설 관리는 부산항만공사(BPA), 해양오염 예방과 방제는 해양경찰이 각각 맡고 있어 책임 구역이 나뉘어 있다관리 사각지대가 생길 수 있는 만큼, 운영 주체 간 현장 단위 협업을 더 치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 의원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남해지방해양경찰청이 올해 5부산항 장기계류선박 관리강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실무협의회를 운영 중이라고 확인 받았다이 협의 틀을 통해 고위험 선박에 대한 합동점검을 정례화하고, 자진 폐선·매각·수리 등 정리 방안을 실제로 집행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잔존유 관리나 불법 유류 이적 등으로 인한 2차 해양오염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체계가 현장에서 작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 의원은 부산항은 국내 물류 거점일 뿐 아니라 국가 해양환경과 안전에도 직결되는 항만이라며 침몰·유류 유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장기계류·방치선박을 더 이상 정박 중 선박수준으로만 둘 것이 아니라, 고위험 관리대상으로 분류해 선제적으로 정리·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