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사회봉사를 마치며...건국대 환경공학-홍연섭
법률연맹
2009-03-13 00:00:00
191
대학생활중 처음으로 사회봉사라는 과목을 수강하게되어 법률소비자연맹을 찾게 되었다. 사실 학점취득을 위해 봉사과목을 선택한 마음도 없잖아 있었지만 지금까지의 대학생활을 돌아보고 학생으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 끝에 사회봉사를 선택하게 되었다. 사회봉사 책자를 살펴보다 선택한 법률소비자연맹과의 시간은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한 구성원으로서 또 시민으로서의 나의 마음가짐을 완전히 변화시켰주었다.
처음 오리엔테이션장을 찾을때까지도 법과 정치에 대해선 라틴어만큼 문외한이었던 난 김대인 법률소비자연맹의 총재님의 삶 자체가 법과 관련있다는 말씀을 듣고 조금씩 궁금점을 갖게 되었다. 과연 나와 이 나라의 법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지 시민이 법의 소비자라는 말이 무엇인지 총재님의 강의를 들으며 조금이나마 무엇인지 옅볼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진정한 주인인 법률 소비자들인 내가 나의 지위를 자각하고 자발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주인으로써 해야 할 의무이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을 비롯하여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인권을 보호하고 나라의 기강인 법의 정의를 구현한다는 이제까지 공기처럼 공짜로 주어져 당연히 누려온 시민으로서의 의무를다하는것이라는걸 말이다. 그리하여 법률소비자연맹에서의 사회봉사는 시민활동의 꽃이라는 국정감사모니터링과 시작되었다.
혜화역 흥사단에서 발대한 국정감사NGO모니터단에서 참석한 난 국정감사란것이 있는것이었는지도 몰랐던 내가 이제까지 얼마나 좁고 편엽하게 살아왔었는지 절감하였다. 그러나 후회할때가 가장 빠른법이라는 친구의 말을 위안삼아 모니터요원 교육을 받으며 사회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여태껏 정치엔 무조건 냉소적이였고 아무생각없이 그저 누군간 나라의 일을 하고 있겠지하며 무기력하고 무비판적인 모습을 버리자며 앞으로의 각오를 다졌다.
중간고사 때문에 시간을 맞추지 못하다 뒤늦게나마 국정감사장에 부푼 마음을 가지고 나의 2004년 17대 국정감사는 시작되었다. 하지만 국회 모니터링실에서 바라본 국정감사의 모습은 국가의 일을 맡은 각 부처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의 모습을 보며 약간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먼저 나랏일을 하시는 공무원의 개인의 이익을 채우기위해 우리의 혈새를 빼돌리고 자기 식구들을 챙기기 바빠 서로 뒤를 봐주고 끌어주는 것들이 들춰지는 모습이 너무나 화가나고 안타까웠다. 또 모두가 그런것은 아니었지만 몇몇 국회의원들의 쟁점은 파악하지 못하고 준비해온 질의문을 읽기에만 바쁜 모습과 치부를 들춰내기게 급급한 모습, 여당과 야당의 정쟁으로 얼룩진 모습은 이런 국정감사가 과연 필요한 것인가 할 정도로 실망스러웠다.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과연 저들끼리 대화란 것이 가능한 것인가 할 정도로 자기의
목소리만 높이고 그것마저 할 맘이 없는지 자리를 뜨고야마는 보면서 처음엔 더 이상 지켜봐야 코메디지 머 더 볼게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국정감사가 진행 될수록 비관적인 모습만을 찾기보단 어떤 의원이 바르게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정책을 제안하는지 또 진정 소신을 가지고 국감에 임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산업자원의 국감에서 여야모두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기위해 얼마나 노력하였는지 직접경험하고 보면서 이러한 모습을 모든 위원회에서 보여준다면 국회에 대한 시민의 의식도 많이 바뀌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언론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되었다. 의원들이 성실하고 날카롭게 피감기관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해도 시민의 눈을 가려버리고 폭로나 뻔한 정쟁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열심히 의원들이 열심히 준비하고 노력해도 그만큼의 소득을 얻을 순 없을것 같았다. 마지막으로 10정도의 짧은 질의 시간은 심도있는 질의와 답변을 위해선 너무 부족해보였고 피감기관이 시정하겠다고 하여도 그것을 분명이 검증하고있는것인지 의문스러웠다.
국정감사는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새삼 느낀다. 시민과 국회의원 또 나라 모
두가 함께 바르게 책임의식을 갖는것이 무책임한 폭로와 의혹제기, 시대착오적인 의식을
지우는 길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조금씩 바뀌어가겠지라는 희망을 갖는다.
개인적으로는 성실하게 일하는 의원들에 내심 감동하며 많은 것을 배웠고 그런 의원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그렇지 못한 의원들은 질책하는 것 그것이 주권자로서의 시민, 나의 역할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또 그것을 통해 국회가 그리고 국정감사가 건강해질 것을 믿는다. 20여일간의 국정감사를 마무리하며 비록 전부는(참석하지못했지만) 내년에는 더 나은 국정감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한학기동안의 어찌보면 짧았던 시간이었지만 정당한 법과 충직한 정부는 이땅의 주인인 성숙한 시민이 만들어가는것임을 다시한번 되새기며 이러한 알차고 소중한 기회를 준 법률소비자연맹에 감사하며 2004년 2학기 사회봉사를 마친다.
처음 오리엔테이션장을 찾을때까지도 법과 정치에 대해선 라틴어만큼 문외한이었던 난 김대인 법률소비자연맹의 총재님의 삶 자체가 법과 관련있다는 말씀을 듣고 조금씩 궁금점을 갖게 되었다. 과연 나와 이 나라의 법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지 시민이 법의 소비자라는 말이 무엇인지 총재님의 강의를 들으며 조금이나마 무엇인지 옅볼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진정한 주인인 법률 소비자들인 내가 나의 지위를 자각하고 자발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주인으로써 해야 할 의무이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을 비롯하여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인권을 보호하고 나라의 기강인 법의 정의를 구현한다는 이제까지 공기처럼 공짜로 주어져 당연히 누려온 시민으로서의 의무를다하는것이라는걸 말이다. 그리하여 법률소비자연맹에서의 사회봉사는 시민활동의 꽃이라는 국정감사모니터링과 시작되었다.
혜화역 흥사단에서 발대한 국정감사NGO모니터단에서 참석한 난 국정감사란것이 있는것이었는지도 몰랐던 내가 이제까지 얼마나 좁고 편엽하게 살아왔었는지 절감하였다. 그러나 후회할때가 가장 빠른법이라는 친구의 말을 위안삼아 모니터요원 교육을 받으며 사회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여태껏 정치엔 무조건 냉소적이였고 아무생각없이 그저 누군간 나라의 일을 하고 있겠지하며 무기력하고 무비판적인 모습을 버리자며 앞으로의 각오를 다졌다.
중간고사 때문에 시간을 맞추지 못하다 뒤늦게나마 국정감사장에 부푼 마음을 가지고 나의 2004년 17대 국정감사는 시작되었다. 하지만 국회 모니터링실에서 바라본 국정감사의 모습은 국가의 일을 맡은 각 부처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의 모습을 보며 약간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먼저 나랏일을 하시는 공무원의 개인의 이익을 채우기위해 우리의 혈새를 빼돌리고 자기 식구들을 챙기기 바빠 서로 뒤를 봐주고 끌어주는 것들이 들춰지는 모습이 너무나 화가나고 안타까웠다. 또 모두가 그런것은 아니었지만 몇몇 국회의원들의 쟁점은 파악하지 못하고 준비해온 질의문을 읽기에만 바쁜 모습과 치부를 들춰내기게 급급한 모습, 여당과 야당의 정쟁으로 얼룩진 모습은 이런 국정감사가 과연 필요한 것인가 할 정도로 실망스러웠다.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과연 저들끼리 대화란 것이 가능한 것인가 할 정도로 자기의
목소리만 높이고 그것마저 할 맘이 없는지 자리를 뜨고야마는 보면서 처음엔 더 이상 지켜봐야 코메디지 머 더 볼게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국정감사가 진행 될수록 비관적인 모습만을 찾기보단 어떤 의원이 바르게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정책을 제안하는지 또 진정 소신을 가지고 국감에 임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산업자원의 국감에서 여야모두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기위해 얼마나 노력하였는지 직접경험하고 보면서 이러한 모습을 모든 위원회에서 보여준다면 국회에 대한 시민의 의식도 많이 바뀌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언론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되었다. 의원들이 성실하고 날카롭게 피감기관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해도 시민의 눈을 가려버리고 폭로나 뻔한 정쟁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열심히 의원들이 열심히 준비하고 노력해도 그만큼의 소득을 얻을 순 없을것 같았다. 마지막으로 10정도의 짧은 질의 시간은 심도있는 질의와 답변을 위해선 너무 부족해보였고 피감기관이 시정하겠다고 하여도 그것을 분명이 검증하고있는것인지 의문스러웠다.
국정감사는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새삼 느낀다. 시민과 국회의원 또 나라 모
두가 함께 바르게 책임의식을 갖는것이 무책임한 폭로와 의혹제기, 시대착오적인 의식을
지우는 길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조금씩 바뀌어가겠지라는 희망을 갖는다.
개인적으로는 성실하게 일하는 의원들에 내심 감동하며 많은 것을 배웠고 그런 의원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그렇지 못한 의원들은 질책하는 것 그것이 주권자로서의 시민, 나의 역할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또 그것을 통해 국회가 그리고 국정감사가 건강해질 것을 믿는다. 20여일간의 국정감사를 마무리하며 비록 전부는(참석하지못했지만) 내년에는 더 나은 국정감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한학기동안의 어찌보면 짧았던 시간이었지만 정당한 법과 충직한 정부는 이땅의 주인인 성숙한 시민이 만들어가는것임을 다시한번 되새기며 이러한 알차고 소중한 기회를 준 법률소비자연맹에 감사하며 2004년 2학기 사회봉사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