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소감문 동국대 통계학과 전연수

법률소비자연맹에서의 봉사활동소감문을 쓰기위해 지난 겨울방학동안에서의 기억을 떠올려보니, 새로운 일에 도전했다는 성취감과 왜 조금 더 열심히 하지 않았나 하는 후회도 든다.
‘법정모니터링’. 내가 현재 전공하고 있는 과목과 아무 상관도 없고, 평소에 그렇게 법에 관심이 많았던 내가 법정모니터링을 하기로 결심한 이유는 단순히 새로운 일에 대한 동경이었다. 평소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법정 안에서의 변호사와 판사들이 아주 멋있게 보였었고, 이왕 봉사활동을 하며 무언가를 배우려고 보니 평소에 접하기 힘들었던, 그리고 뭔가 멋있게만 보였던 법정에 대해 흥미가 생겼다.
가장 처음 법률소비자연맹에 접하게 된 것은 오리엔테이션에서 김대인 총재님의 말씀이었다. 평소 어렵게만 보이고, 왠지 나와는 동떨어져 있을 것만 같았던 ‘법’에 대해, 일상생활과 관련지어 해주시는 설명을 들으며, 법이란 나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아주 가까이 있는 것이란 생각이 들며 왠지 모를 친근감이 들었다.
법정모니터링을 처음 하는 날. 법원으로 들어가면서, 법정으로 들어가면서 그동안 법정이 재판 중 개방이 된다는 사실을 몰랐던 나는 왠지 들어가면 안 되는 곳에 들어가는 느낌이 들어 약간 주눅이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법정 안에 들어가는 순간, 그곳의 분위기는 왠지 모를 안도감을 주었다. 처음엔 뭐가 뭔지 몰라 주위를 두리번거리기만 하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주위의 것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여성판사님이었는데 피고인에게 어려운 법률용어를 하나하나 차근차근히 설명해 주시는 모습이 인상이었다. 그리고 피고인을 늘 정중하게 대하는 모습도 마찬가지였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피고인이라 해도, 혹시 죄를 지었다 해도 사람이 사람에게 함부로 대하거나 막 대할 수 없는 것이 당연지사인데, 괜히 내 마음속에는 그런 것이 당연해져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판사님이 잘해 주면 괜히 감동을 받고 인상적이라 생각하는데, 매우 잘못된 생각인 것 같다.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설 수 있는 곳이 법정인데, 가끔 그런 생각을 놓치고 있으니 내가 만들어 낸 생각이든, 언론에서 내게 심어준 생각이든, 이런 잘못된 생각부터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법정에서의 재판모습은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왠지 다른 모습이었다. 언론에서 비치던 변호사들의 열성적인 모습 등을 기대했지만 그런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고, 너무 형식적으로 피고인을 변호 한다는 느낌밖에 받을 수 없었다. 그냥 일상이 되어버린 변호 같았고, 법정 안에서 졸고 있는 판사, 변호사들을 보는 등 내겐 너무 실망 이었다. 그리고 그런 모습은 법정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법정에 가면 그리 낯설지 만은 않은 모습이었다.
솔직히 처음에는 모두가 그렇겠지만 꼭 봉사활동을 해야겠다는 사명감보다는 부족한 학점을 채우기 위해 봉사활동을 시작했지만, 끝은 그렇지 않았다. 그냥 영화나 TV에서 비춰지는 대로 믿고 있던 내게 법정 모니터링을 함으로서 그동안 내가 잘못 알고 있던 법에 대한 편견과 무지 등을 알 수 있었다. 법이란 사람들에게 멀리 있는 게 아니라 바로 가까이에 늘 있다는 것을 더욱 깨닫게 되었고, 현재 재판 등에서 잘 못 되고 있는 점 등을 직접 느끼고 의견을 낼 수 있게 되어 매우 뜻 깊은 봉사활동이 되었다.
앞으로 바라는 점이 있다면 나 말고도 법에 대해 무지하고 잘 못 알고 있는 친구들이 나처럼 제대로 알고,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남들이 주는 정보 그 표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의식을 깨어 제대로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란다. 또 개인적으로 법정모니터링 이외에 언론, 국정모니터링 등을 통해 편견 등을 깨고 남을 비판하기만 하기 보다는 우리 모두가 제대로 알아 스스로 책임지는 사회를 만들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런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신 법률소비자 연맹에 정말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