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봉사활동 소감문 -건국대 법학과 오상현
2007년 봄학기 나의 사회봉사 활동은 먼저 법률소비자연맹에서 준비한 오티 참석으로 시작되었다. 기가오는 토요일 기대반 두려움 반으로 법률소비자연맹 사회봉사활동 오티가 열리는 세무사회관으로 갔는데 세무사회관 강당에 들어서는 순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을 보고 놀랐고, 4시간동안 교육을 하신 김대인총재님의 열정에 다시 한 번 놀랐다. 김대인 총재님의 강의는 법학, 사회학, 인문학등 대학교 모든 전공과목을 넘나드는 강의로 내가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뿐만아니라 이번 봉사의 목적등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4시간 남짓의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내가 하는 모니터링의 얼마나 중요한 지를 알고 무거운 어깨로 모니터링을 시작하였다.
그 후 본격적인 임무를 배정받기 위해 법률소비자연맹 사무실을 내방하였는데 사무실의 규모를 보고 깜짝 놀랐다. 우리나라의 법과 관련된 대부분의 기관과 단체들이 권력과 힘을 가지고 막대한 규모를 자랑하고 있는데 당연히 시민단체이긴 하지만 법률소비자연맹 역시 규모가 클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직접 내방해서 보니 협소한 공간에 놀랐다. 사무실 내방 하였을때 정부를 감시하는 시민단체라는 이름을 걸고 있으면서 정무로부터 지원을 받는 규모를 늘리는 시민단체 얘기를 총지님으로부터 듣고 과연 우리나라의 시민단체가 제대로 운영이 되고 있을지의 의무심이 들었다. 어쨌든 이러한 작은 규모의 사무실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에게서 불만어린 표정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밝았고 활기찬 자세로 일하는 것을 보년서 내가 정말 이 단체에서 많은 것을 배워갈 수 있고 느낄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열심히 일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주로 내가 활동한 분야는 재판관정을 모니터링 하는 법정모니터링 이었는데 법정모니터링은 내 전공분야 이면서도 평소에 관심이 많았던 사법제도에 대하여 심도있게 다시 생각해 볼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법학을 전공하고 있는 나 지만 민사법정 한번 본게 고작이었던 나는 이번 법정 모니터링이라는 봉사활동을 계기로 법정안에 들어가서 재판을 방청하고 그에 따른 모니터링까지 하면서 얻은 점이 생각보다 많았다.
법정모니터링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재판진행 과정에서 법이라는 권위에 지나칠 정도로 억눌림을 받아 자신이 주장해야 할 권리조차 제대로 주장하지 못하는 이들이 존재한다는 현실에 크게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무언가 변론을 하려고 하면 판,검사에게 발언을 저지당하고 변호사도 선임하지 못한 경우에는 판사와 마주하는 피고인석에 홀로서서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면서 재판을 받아야만 하는 재판 당사자들의 모습은 아직까지 재판당사자등이 자신의 변호를 적극적으로 행할 수 없게 하는 우리나라의 재판 진행 구조의 현실을 내게 버여주었다. 재판당사자라는 말에도 알 수 있듯이 피고인도 검사와 함께 재판의 당사자로서 동등한 위치에 놓여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형사재판정에 가면 검사와 피고인의 자리배치를 보면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의 당사자주의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았다. 변호사와 피고인의 자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법에 대해 문외한인 피고인은 더욱더 공포심을 느끼고 변호인과 의견교환이 잘 되지 않는 것 같았다. 우리나라도 점점 더 공판 중심주의의 비중이 커진다고 들었는데 피고인의 자리배치도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재도 한 재판관이 많은 사건을 담당하고 있는데 공판중심주의로 전환이 되면 더욱더 재판 시간이 길어지는데 그것에 대한 대책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처음 학교에서 기초교육을 받을 때 담당 교수님께서 학교의 이름으로 봉사활동을 하는 것이니 좀더 성실하고 열심히 해달라고 했던 말이 생각난다. 정말 그러하였던 것이 한 학기동안 몇 백 명이나 되는 학생들이 사회봉사를 하는데 일일이 직원분들께서 일일이 다 이름을 기억하실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결국은 어느 학교 무슨 학과 학생으로 기억이 되는데 활동을 하면서도 최소한 학교이름은 욕먹지 않게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활동을 했다. 솔직히 이번학기의 봉사활동이 법률소비자연맹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나로서는 정말 많은 것을 배워가게 되었다. 자의에 의해서가 아닌 학점 동기에 의한 봉사활동이긴 했어도 이런 봉사활동을 한 것에 대해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도 있었다. 사회 구성원으로서 해야 할 임무와 인식에 대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으며 또한 내가 앞으로 무슨 일을 할지는 모르겠지만 전공분야인 법에 대해 좀 더 친숙해 진것같아 좋았다. 또한 사회에서의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해 깊이있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번학기 법률소비자연맹과의 만남을 바탕으로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좀 더 사회의 구성원으로 사회발전에 일조를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