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봉사활동 소감문-동국대 회계학과 김상종
법률연맹
2009-03-13 00:00:00
349
올해 초 전역을 하고 2학기를 맞았다. 그러던 중 친구가 학교에서 봉사활동을 하면 학점인정도 하고 봉사활동도 할 수 있다고 하기에 봉사활동을 신청하였다. 솔직히 말하면 예전 중 고등학교 때처럼 대충대충하면 될 거라는 생각에 신청한 것이 사실이었다. 여러 가지 봉사활동이 있었는데 법정모니터링이라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대충대충 하면 될 거라는 생각을 가진 상태로 OT에 참석을 했다. 하지만 몇 시간의 동안의 강의를 듣고 나서는 예전과는 다른 마음을 먹고 봉사활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졌다. 법정모니터링은 군대를 경비교도대를 나와서 인지 낯설지 않고 익숙했다. 내용이해도 그다지 어렵지는 않았다.
하지만 법정에서 왜 판사가 들어오면 일어서야하는지 또한 판사와 피고인 검사 변호사가 동등한 위치에 있지 않고 높은 자리에 판사가 있어야 하는지 의문이 생겼다. 그리고 피고인은 형이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이미 범죄자라는 인식이 생기게 하는 제도 또한 문제가 되는 것 같았다. 또한 법정에서 앉은 자세부터 모자에 이르기 까지 하나하나 간섭을 해야 하는 이유도 궁금하였다.
이번 봉사활동에서는 민사재판이나 소송 아니면 대법원에라도 갔었어야 했는데 형사재판만 모니터링을 해서 조금 아쉬웠다. 하지만 국회라는곳을 처음 가보고 국회에서 국회의원들을 실제로 볼 수 있는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법원뿐 아니라 국회의원들이 하는 일과 국회의원들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국회의원에 대해서 조사를 하는데 국회의원 홈페이지 관리를 잘 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의 홈페이지 관리가 좀더 잘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번 봉사활동에서 법정모니터링보다는 법률소비자연맹에 대한 존재를 알게 된 것이 더 좋은 경험을 한 것 같다. 하지만 30시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에 봉사활동을 할 수밖에 없던 점이 아쉬웠다. 또한 봉사활동이 1학점을 취득하는 것이라서 학점 때문에 봉사활동을 하는 것 같다. 학점 때문에 봉사활동을 하는 점이 개선이 되어야할 것 같다.. 또한 자아와 명상처럼 학점 인정 없이 P/F제도를 도입해서 필수 이수를 한다면 더 좋을 것 같다. 첫 OT때 국정감사의 중요성을 많이 말씀하셨지만 학교 시험기간과 일정이 겹쳐서 가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봉사활동을 하면서 예전에 했던 봉사활동과 달리 좀더 생각을 많이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정치에는 무관심했지만 이번 봉사활동을 통해서 여러 국회의원도 보고 법정도 가는 듯 사회를 보는 안목을 넓힐 수 있었다. 마지막에 시간에 쫓겨서 봉사활동을 한 것을 생각하니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는 학점이 아닌 진심으로 우러나오는 봉사활동을 해야겠다.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