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봉사의 새로운 의미를 깨닫게 해준 봉사활동 - 동국대 경영학과 김민지
처음 법률소비자연맹이라는 곳에서 봉사활동을 하게 되었을 때는 단지 이곳이 법률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만 생각 했을 뿐 이 단체에서 구체적으로 무슨 일들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몰랐다.
단지, 법이라는 것을 다루고 있다는 것은 분명 했기에 뭔가 다른 봉사활동과는 다르게 재미있고 멋진 일을 할 것 같은 생각만 했다.
오티 때 이곳이 어떤 단체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나는 그중에서 언론 모니터링을 하게 되었다.


법원에 가서 재판을 보고 판사와 그 외 사람들이 재판을 올바르게 진행하고 있는지를 봐야하는 것은 필수로 해야 되는 일이였기 때문에 재판을 보기위해 정말로 법원에도 갔다.
법원은 처음 간 간 것 이어서 어디로 어떻게 가야하는지 헤매기도 했다. 또 모든 재판을 일반인들에게도 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도 몰랐던 나는 그 모든 것이 신기했고, 재미있었다.

처음 재판에 들어갔을 때는 뭐가 어떻게 진행되는 지도 모르고 너무 빠르게 지나가 버려서 당황하기도 했지만 그 다음부터는 재판의 흐름을 파악하고 판사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을 지적하면서 모니터링종이에 적어 내려가는 것이 재미있었다.
어떤 판사는 친절하고 재판당사자들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가 하면, 어떤 판사는 재판당사자들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해 참 고칠 것이 많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언론 모니터링은 생각 보단 쉽지는 않았다.
내가 정한 주제는 ‘이명박 정부의 경제, 사회정책’이었는데 이에 관련된 기사가 많지는 않았다.
또 적합한 기사를 일일이 읽어보고 스크랩하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이러한 언론 모니터링 덕분에 신문도 자세히 읽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현재의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 알게 되어서 나의 판단가치를 가름 지을 수 있었다.



이 봉사활동을 하게 전에는 나는 막연히 봉사란 경제적 또는 물리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고,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이나, 노인들, 그리고 고아들을 도와주는 것이라고만 생각 했었다.
그래서 이번학기에 봉사활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학교에서 봉사활동을 신청할 때 장애인 복지단체로 신청을 하려고 했었으나 이미 마감이 되었거나, 학교 시간과 맞지 않아서 신청을 못하고 이곳에 호기심 반으로 신청을 했는데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일단 ‘봉사’라는 그 의미부터 다시 새기게 되었다.
어려운 이웃들을 직접적으로 도와주는 것 뿐 만아니라 이러한 사회활동을 통해서 그 뿌리부터 잘못된 것을 시정해서 그들이 공정한 사회에서 살아가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언론 모니터링은 이렇게 내가 기사를 스크랩하고 분석하고 그에 대한 내 생각을 작성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생각할 지도 모르지만 나 뿐 만아니라, 여러 사람들이 이렇게 언론을 감시하고 언론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는 그 잘못을 고치도록 요구하면 결과적으로는 올바른 언론의 기능을 해 국민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 할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