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봉사가 최고의 교육이다 -덕성여대 화학과 서화숙
법률연맹
2009-03-17 00:00:00
508
2학기 수강편람을 통해서 사회봉사를 알게 되었다.
평소 봉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는 않았지만 한번 해 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수강신청을 하게 되었다.
내가 선택한 기관은 “법률 소비자 연맹”으로, 전국 대학생과 일반 국민들에게 전문성 이는 사회봉사의 법률교육을 실시하고, 국회의원의 국정감사, 세미나 참석, 공판 참관 등 다양한 법률 운동을 실시하고 있었다.
기존의 봉사활동과는 달라서 생소하였지만, 나에게 많은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1석 2조의 봉사활동이었다.
기관에서 내가 한 활동은 언론 모니터링과 법정 모니터링 그리고 국정감사 모니터링이었다. 우선 법정 모니터링은 민사재판, 민사소액재판, 형사재판을 참관하여 재판장, 검사, 변호사, 증인 등 재판 관련 당사자들의 태도를 살피고 기록하는 활동이다.
법원에 몇 번 가보기는 했지만, 직접 재판을 참관하기는 처음이라 신기하였고, 엄숙한 분위기에 주눅이 들었다.
그리고 언론 모니터링은 “농림 해양 수산 위원회”의 활동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솔직히 이런 주제가 과제로 주어졌을 때, 나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왜냐하면 평소에 자주 접하는 분야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열심히 해 보자는 마음으로 봉사활동을 시작했다.
농림 해양 수산 위원회에 관련된 자료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손쉽게 찾을 수 있었다.
농해위의 언론에 보도된 활동 들을 통해서 현 정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쌀 소득 직불제의 효율성, 미국산 쇠고기 수입관련 태도, 한국 마사회의 도박문제 -등을 엿볼 수 있었고, 서민들을 위해서 국회의원들이 얼마만큼의 노력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국회의원들도 있었지만 말이다.
마지막으로 봉사활동의 꽃 이라고 불린다는 국정감사 모니터링은 정말 재미있었다.
나는 국회의사당에 직접 들어가서 환경노동위원회의 국정감사를 하였는데 평소 자주 보았던 의원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히 아나운서였던 한선교 의원이 국정감사 하는 모습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는데, 평소에 느꼈던 점잖은 이미지는 찾아 볼 수 없어서 당황스럽기도 했다.
의원들은 피감기관의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시키려는 등의 노력을 보여줬던 반면 종종 막말을 하거나 언성을 높이는 등 보는이로 하여금 인상을 찌푸리게 만드는 모습도 보여줘서 크게 실망했다.
봉사활동 시작 전에는 법과 사회 그리고 정치 등은 이과생인 나와는 관련 없는 분야라고 생각해서 관심도 갖지 않고, 알려고 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는 정말 편협하고 창피한 생각이었다. 그러나 봉사활동을 통해 이제는 확실하게 달라진 내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신문을 보거나 뉴스를 시청할 때면 사회나 정치면에 관심을 갖고 먼저 읽어본다.
“봉사가 최고의 교육이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그 말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어떤 교양 과목 보다 유익했고 즐거운 봉사활동이었다.
평소 봉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는 않았지만 한번 해 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수강신청을 하게 되었다.
내가 선택한 기관은 “법률 소비자 연맹”으로, 전국 대학생과 일반 국민들에게 전문성 이는 사회봉사의 법률교육을 실시하고, 국회의원의 국정감사, 세미나 참석, 공판 참관 등 다양한 법률 운동을 실시하고 있었다.
기존의 봉사활동과는 달라서 생소하였지만, 나에게 많은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1석 2조의 봉사활동이었다.
기관에서 내가 한 활동은 언론 모니터링과 법정 모니터링 그리고 국정감사 모니터링이었다. 우선 법정 모니터링은 민사재판, 민사소액재판, 형사재판을 참관하여 재판장, 검사, 변호사, 증인 등 재판 관련 당사자들의 태도를 살피고 기록하는 활동이다.
법원에 몇 번 가보기는 했지만, 직접 재판을 참관하기는 처음이라 신기하였고, 엄숙한 분위기에 주눅이 들었다.
그리고 언론 모니터링은 “농림 해양 수산 위원회”의 활동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솔직히 이런 주제가 과제로 주어졌을 때, 나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왜냐하면 평소에 자주 접하는 분야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열심히 해 보자는 마음으로 봉사활동을 시작했다.
농림 해양 수산 위원회에 관련된 자료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손쉽게 찾을 수 있었다.
농해위의 언론에 보도된 활동 들을 통해서 현 정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쌀 소득 직불제의 효율성, 미국산 쇠고기 수입관련 태도, 한국 마사회의 도박문제 -등을 엿볼 수 있었고, 서민들을 위해서 국회의원들이 얼마만큼의 노력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국회의원들도 있었지만 말이다.
마지막으로 봉사활동의 꽃 이라고 불린다는 국정감사 모니터링은 정말 재미있었다.
나는 국회의사당에 직접 들어가서 환경노동위원회의 국정감사를 하였는데 평소 자주 보았던 의원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히 아나운서였던 한선교 의원이 국정감사 하는 모습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는데, 평소에 느꼈던 점잖은 이미지는 찾아 볼 수 없어서 당황스럽기도 했다.
의원들은 피감기관의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시키려는 등의 노력을 보여줬던 반면 종종 막말을 하거나 언성을 높이는 등 보는이로 하여금 인상을 찌푸리게 만드는 모습도 보여줘서 크게 실망했다.
봉사활동 시작 전에는 법과 사회 그리고 정치 등은 이과생인 나와는 관련 없는 분야라고 생각해서 관심도 갖지 않고, 알려고 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는 정말 편협하고 창피한 생각이었다. 그러나 봉사활동을 통해 이제는 확실하게 달라진 내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신문을 보거나 뉴스를 시청할 때면 사회나 정치면에 관심을 갖고 먼저 읽어본다.
“봉사가 최고의 교육이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그 말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어떤 교양 과목 보다 유익했고 즐거운 봉사활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