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람을 느끼게 해준 봉사활동-건국대 법학과 강승준
시간 채우기 목적으로만 생각해왔던 봉사활동을 학생 때와는 달리 태어나서 처음으로 정말 자발적인 동기로 신청했다.
아무 의미 없이 보낸 1학년때 너무 많은 것을 느껴서 2학년때에는 뭔가 제대로 해보자라는 마음이 앞서 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교 와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내 목표 중 하나였으니 그야말로 ‘일석이조’같은 상황이 되었다.
나는 봉사활동을 ‘법률소비자연맹이라는 우리나라의 사법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헌신하는 NGO단체에서 했다.
나는 법학전공이기 때문에 뭔가 얻어갈 수 있을게 있을거 같아서였다.
기타 다른 시민단체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생각해봤지만, 아무래도 전공에 조금이라도 더 도움이 되기 위해 법률소비자연맹을 선택했다.


법률소비자연맹에서의 봉사활동은 기대했던 것과 같이 나에게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람을 느끼게 해 주었다.
첫째로, 우리나라에는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많은 NGO들이 사회적 공익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단체들 중에는 법률소비자연맹처럼 국가의 지원을 일체 받지 않고 운영하는 당당하고 영향력 강한 단체들도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둘째로, 이런 시민단체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개인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닌,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계시다는 것, 친절하시고 자기가 하는 일에 자부심도 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행정보조를 하면서 직원분들이 일하는 모습을 보았는데 모두 자기 일에 대해 굉장히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보았다.
셋째,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이 활동이 우리나라의 질서와 정의를 바로 세우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나도 모르게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고, 사회봉사 교육을 받을 때 듣고 의아해 했던 ‘개인적인 만족감’을 직접 느낄 수 있었다.
넷째, 내가 전공이 법학과지만 학부생 때는 법원에 가서 재판하는 모습을 보거나 국회에서 법안의 정책 방향등에 대해서 직접 알기 어려운데, 이번 봉사활동을 하면서 그런 부분에 관해서는 확실하게는 아니지만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되었다.



내가 한 활동은 법정모니터링과 세미나 참관이다.
법정모니터링은 법정에서 벌어지는 재판과정을 지켜보고 판사, 검사, 변호사, 그 외 법원직원들의 개선할 점이 있거나 그들의 모습을 담아오는 것이었는데, 이 활동의 목적은 재판 중 재판당사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것이다.
맨 처음 법정에 들어갈 때에는, 무섭고 긴장 돼서 입구에서 들어가지도 못하고 서성거렸다. 그러다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아서 결국 들어가서 앉았다.
내가 주로 갔던 동부지방법원은 그래도 법정 찾기는 쉬운 편이어서 찾아가는 것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았다.



법정에 들어가고 나니 강의실에 앉아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처음으로 형사재판을 모니터링 하게 되었다.
형사재판이라 그런지 긴장감이 돌고 있었는데, 차츰 긴장된 마음보다는 호기심 어린 마음으로 임하게 되었다.
형사재판은 사기, 절도, 폭력행위 같은 범죄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구속 중인 피고인들이 죄수복과 수갑을 차고 경찰에게 인도되어 나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실제로 구속 중인 죄수복을 입은 사람은 처음 봐서 더욱 그랬던 것 같다.
하지만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형사재판을 받는 피고인들의 가정환경과 그들의 학력이었다.
거의 모두가 이혼가정이나 편부모 가정에서 자라 경제적으로도 심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학력 또한 높을 수가 없었다.
다른 재판보다도 형사 재판에서는 자기의 죄를 뉘우치고 형을 감경해달라는 요청을 하는 모습이 너무 마음이 아팠다.


민사재판은 형사재판보다 긴장감은 덜했다.
위약금이나 손해배상 등 금전에 관련된 문제가 많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주로 법인과 일반인이 소송상에서 맞붙게 되면 법인측이 승소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어떤 재판같은 경우는 일반인이 이기는 재판도 있었다.


TV로 보았던 근사한 법정과 많은 사람들, 변호사들의 논리정연하며 판검사들의 카리스마를 기대했던 나는 약간 실망했다.
또한 검사는 여러 사건을 다루다 보니 피곤한 것처럼 어떤 사건 같은 경우는 그냥 대충 일을 빨리 빨리 진행해 끝내려고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변호사들 또한 국선변호사 같은 경우는 검사와 비슷한 듯 보였다.
재판정 시설은 좋아 마이크가 모두 작동되고 있었지만, 판사의 발음은 알아듣기가 힘들었다.
판사는 방청인을 위해서라도 약간 발음을 수정해야 된다고 생각했다.
옛날보다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약간 판사들의 권위적인 모습이 남아있고, 피고들이 약간은 무시당하는 듯한 그런 모습을 보고 나니 이 모니터링의 의미를 절실히 깨닫게 되었다.


내가 매스컴을 통해서만 봐온 법정 안의 모습만을 기대했던 것이 잘못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그런 것들을 빼고서라도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들이 있었다.
우선 국선변호사들의 책임감과 의지력이 향상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성의 없이 질문하고 불성실하게 될 대로 되라는 식의 태도는 자신의 입장으로 바꿔놓고 생각하여 변호할 때만큼은 열정적으로 임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판사 또한 일의 진행만을 생각하지 않고 재판당사자들의 운명을 쥐고있는 만큼 사건 하나하나 성심성의껏 임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우선 법원이 보통사람들에게 어렵지 않은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게 우선인 것 같다.


법정모니터링 외에도 몇 개의 세미나에 참석했다.
모두 국회에서 있는 세미나였는데, 18대 국회 주요 정책 방향등의 세미나 같은 경우는 참석인원도 굉장히 많고 장내 분위기도 매우 진지한 분위기였다.
이것 말고도 몇 개의 세미나에 더 참석을 했는데, 여러 가지 사회 문제의 원인과, 그 해결방안 들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지식을 쌓을 수 있어서 좋았다.
강의실이 아닌 곳에서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이 특히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다.
단지 지식이 늘어나는 것이 아닌, 지식도 늘지만, 또한 자신이 평소 간과하던 생활습관들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되었고 특히 내면적으로 수용되는 것들이 굉장히 많았다.
세미나 같은 경우도 나 스스로를 다시한번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제 한 학기가 거의 끝나고 사회봉사도 모두 마치게 되었다.
한 학기 동안 매우 보람있는 활동이었고, 나중에 2학기 때에도 다시 하고 싶은 활동이다. 이 봉사활동은 진정으로 자신, 더 확장해서 시민들의 권리에 대해서 알고 그 권리를 찾는 방법을 알고 또 방법을 아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방법을 통해 진실된 권리를 찾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다.
내가 해보지 않은 분야도 조금만 생각해보면 권리를 찾는 활동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는 만큼 민주사회의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꼭 한번 추천해 주고 싶은 봉사활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