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주인의식을 깨우치게 해준 봉사활동-서울대 서어서문학과 강소혜
지난 학기에 처음으로 사회봉사 과목을 접하게 되었고 장애아동 교육봉사를 한 학기동안 하였다.
기대했던 것보다 봉사하면서 느끼는 보람이 컸고 학교의 과목이라는 점 때문에 더 큰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번 학기에 이어서 사회봉사 교과목을 신청하면서는 시민사회운동 관련 봉사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고 그래서 택한 것이 법률소비자연맹의 언론 모니터링 봉사였다.
평소에 시민사회운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이에 대한 관심이 많았지만 NGO에서 직접 봉사를 하는 것은 처음이었고 이를 통하여 사회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컸다.


법률소비자연맹에서의 봉사는 오리엔테이션으로 시작되었다.
큰 강의실을 가득 메운 봉사자들과 함께 법률소비자연맹에 대한 소개와 다른 봉사자들의 활동을 들으면서 봉사자로서의 책임감이 커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법률소비자연맹의 봉사자는 반드시 법정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처음에는 내가 신청한 봉사 분야가 아니고 직접 재판을 보고 모니터링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졌으나, 이제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견문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경험이고 사회적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기능을 하는 중요한 시민 감시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반드시 봉사를 위해서만이 아니라도, 판사, 변호사, 검사가 무슨 일을 하며, 재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기 위해서는 재판에 참관해보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같은 법체계 하에서도 법관에 따라 재판 진행양상이 다른 것을 보고 진정한 법조인의 자세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법을 몰라 불이익을 당하는 사람을 보고는 멀게만 느껴졌던 법이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음을 깨달았다.
언론 모니터링의 경우, 나는 주제를 ‘이명박 대통령 방미 보도 경향 분석’으로 정하고 대상을 조선일보와 한겨레로 하였다.
평소에도 일간지를 구독하지만 시간의 문제 등으로 자세하게 읽거나 분석하지 못하고 새로운 사실 관계만 확인하는 선에서 그쳤었다.
하지만 모니터링을 염두에 두고 신문을 읽으니 예전에는 깨닫지 못했던 세세한 차이점이 눈에 보였다.
같은 사건을 다루면서도 보도빈도 및 보도내용이 달랐다.
이는 각 언론사가 중점을 두고 있는 가치와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 차이점이라고 생각하며, 모니터링을 하면서 나의 이러한 생각이 옳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론 모니터링은 비판적이고 비교분석적인 사고력을 요하는 동시에, 이를 집어내서 글로 정리해낼 수 있는 능력도 요구한다는 점에서 생각보다 시간과 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이었다. 하지만 모니터링하는 주제가 아니더라도 언론을 접할 때 기사의 숨겨진 의도와 정치적 역학관계를 예전보다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등 그 노력과 시간이 아깝지 않은 활동이었다.


이번 학기에 사회봉사를 하면서 국가라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나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이 많았다.
학교 혹은 가정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나는 사회에 대한 관심을 게을리 하고 주인의식을 잃었던 것은 아닌지 반성도 하였다.
사회가 나를 위해서 해줄 것만을 기대하지 말고 내가 사회를 긍정적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진정한 지식인의 자세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번 사회봉사는 나에게 그런 가능성을 열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