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값진 경험과 함께 진정한 봉사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건국대 멀티미디어 김대호
법률연맹
2009-06-22 00:00:00
521
그동안 봉사활동 경험이 없던 나는 학교에서 개설된 사회봉사 수업을 통해 봉사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솔직히 처음엔 어떤 기관인지도 잘 모르고 단순히 봉사시간을 채우기 위해 신청을 했다.
하지만 7시간에 걸친 이틀간의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봉사활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특히 소비자법률연맹의 김대인 총재님께서는 사회봉사 정신의 생활화를 강조하셨는데,
사회봉사 정신을 생활화하게 되면 신체건강, 정신건강, 리더쉽, 사회발전, 개인적 성취 등 사회와 자신을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하셨다.
시민 단체 봉사활동이 처음이라 그런지 약간의 설렘과 함께 자부심도 느낄 수 있었다. 아직도 총재님의 열정적인 연설이 아직 귓가에 맴도는 듯하다.
법정모니터링을 9번 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처음으로 법원이라는 곳에 갔다.
법정 모니터링이란 국민의 혈세로 일하는 공직자들임에도, 재판 중에 졸거나, 상대방에게 경시하는 태도로 반말을 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재판장들을 감시하면서, 법원의 전반적인 환경, 상태들을 점검해 보는 일이다. 이 법정 모니터링 활동은 단순히 법정을 감시하는 것이 아닌, 한 국가 시민의 일원으로서 작은 목소리라도 많은 사람이 참여함으로써 잘못된 것들을 바로 잡아 사회에 영향을 끼칠 수 가 있다.
그리고 이번 봉사를 통해 행정의 주요한 주체인 국회, 행정부, 법원, 비정부기구가 하는 활동들을 직접 눈으로 지켜보며 여러 가지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런 모든 것들이 내 삶과는 멀다고 생각했지만, 실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곳들이었다. 특히, 비정부, 비영리기구들이 하는 일은 직접적인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이를 언론에 알려 이슈화시킴으로써 변화를 촉구하고, 이번에 봉사활동에 참여한 나처럼 일반시민들의 올바른 정치적 사회화를 위해 봉사활동 프로그램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법정모니터링은 사회와 법제도에 대한 나의 무지와 편견을 일소해 주었다면, 학술행사 모니터링은 나의 지식세계와 시야를 보다 넓혀준 계기가 되었다.
전공분야와 가까운 컴퓨터 분야뿐만 아니라 생소한 영역이었던 환경에 이르기까지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생생한 강연을 직접 들을 수 있는 매우 귀중한 경험이었다. 학술행사에 직접 참여하기 전에는 학술행사에 대한 일종의 부담감이 있었다. 하지만 직접 참여해보니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많은 정보나 지식을 접할 수 있었고, 전문적인 식견이 없더라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학술행사는 다른 친구들에게도 추천해 주고 싶다.
내가 졸업할 때 까지 법률소비자 연맹에서 봉사를 계속 하고 싶다.
이것은 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나에게 여러 도움을 주었고, 새로운 공부를 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 학기에는 내 전공과 관련해 법률 연맹의 네트워크 관리를 한번 해보고 싶다.
공대생인 나에게 이런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인성을 키우고, 사회를 알아 가는데 많이 도움이 될 것이다. 끝으로, 법률소비자연맹 봉사활동을 소개해준 친구와 직원분들, 김대인 총재님께 감사드린다.
솔직히 처음엔 어떤 기관인지도 잘 모르고 단순히 봉사시간을 채우기 위해 신청을 했다.
하지만 7시간에 걸친 이틀간의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봉사활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특히 소비자법률연맹의 김대인 총재님께서는 사회봉사 정신의 생활화를 강조하셨는데,
사회봉사 정신을 생활화하게 되면 신체건강, 정신건강, 리더쉽, 사회발전, 개인적 성취 등 사회와 자신을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하셨다.
시민 단체 봉사활동이 처음이라 그런지 약간의 설렘과 함께 자부심도 느낄 수 있었다. 아직도 총재님의 열정적인 연설이 아직 귓가에 맴도는 듯하다.
법정모니터링을 9번 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처음으로 법원이라는 곳에 갔다.
법정 모니터링이란 국민의 혈세로 일하는 공직자들임에도, 재판 중에 졸거나, 상대방에게 경시하는 태도로 반말을 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재판장들을 감시하면서, 법원의 전반적인 환경, 상태들을 점검해 보는 일이다. 이 법정 모니터링 활동은 단순히 법정을 감시하는 것이 아닌, 한 국가 시민의 일원으로서 작은 목소리라도 많은 사람이 참여함으로써 잘못된 것들을 바로 잡아 사회에 영향을 끼칠 수 가 있다.
그리고 이번 봉사를 통해 행정의 주요한 주체인 국회, 행정부, 법원, 비정부기구가 하는 활동들을 직접 눈으로 지켜보며 여러 가지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런 모든 것들이 내 삶과는 멀다고 생각했지만, 실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곳들이었다. 특히, 비정부, 비영리기구들이 하는 일은 직접적인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이를 언론에 알려 이슈화시킴으로써 변화를 촉구하고, 이번에 봉사활동에 참여한 나처럼 일반시민들의 올바른 정치적 사회화를 위해 봉사활동 프로그램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법정모니터링은 사회와 법제도에 대한 나의 무지와 편견을 일소해 주었다면, 학술행사 모니터링은 나의 지식세계와 시야를 보다 넓혀준 계기가 되었다.
전공분야와 가까운 컴퓨터 분야뿐만 아니라 생소한 영역이었던 환경에 이르기까지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생생한 강연을 직접 들을 수 있는 매우 귀중한 경험이었다. 학술행사에 직접 참여하기 전에는 학술행사에 대한 일종의 부담감이 있었다. 하지만 직접 참여해보니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많은 정보나 지식을 접할 수 있었고, 전문적인 식견이 없더라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학술행사는 다른 친구들에게도 추천해 주고 싶다.
내가 졸업할 때 까지 법률소비자 연맹에서 봉사를 계속 하고 싶다.
이것은 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나에게 여러 도움을 주었고, 새로운 공부를 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 학기에는 내 전공과 관련해 법률 연맹의 네트워크 관리를 한번 해보고 싶다.
공대생인 나에게 이런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인성을 키우고, 사회를 알아 가는데 많이 도움이 될 것이다. 끝으로, 법률소비자연맹 봉사활동을 소개해준 친구와 직원분들, 김대인 총재님께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