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정말 공부도 하면서 봉사활동 하는 곳은 ‘법률소비자연맹’ 밖에-동국대 행정 박민희

학교 봉사활동 지원센터인 ‘참사랑 봉사단’을 통해 시작하게 된 ‘법률소비자연맹’의 봉사활동은 매우 색다른 경험이었으며 또한 뜻 깊은 활동이기도 하였다.
기존에 내가 해왔던 봉사활동은 지역 사회복지관의 저소득층 아이들의 학습지도, 장애인복지시설에서 봉사 등 도움이 필요한 특정사람들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임하게 된 활동은 특정인을 위한 봉사가 아니라 사회전체에 도움이 되는 활동이었다. 아이들 학습지도나 복지시설 청소와 같이 내가 활동한 결과가 바로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작은 일이 하나하나 쌓여서 사회전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니, 뿌듯한 마음에 봉사활동 하러 가는 길이 즐거웠다.

가장 먼저 했던 활동은 법정모니터링이었다.
법정모니터링은 학교에서 봉사활동을 신청할 때부터 가장 먼저 하고자 마음먹었던 활동이다. 왜냐하면 평소 사법부활동에 관심이 많고 진로 또한 법원공무원을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법원활동에 관심이 많아도 재판당사자가 아닌 이상 평소에 법원 방문을 자주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나 또한 예전 ‘현대사회와 법’이라는 교양수업 과제 때문에 한번 방청한 것이 다였다. 법정모니터링은 평소에 자주 접해보지 못했던 법원을 친근하게 느끼게 해주었으며, 재판과정을 막연히 지켜보는 수동적인 입장에서 더 나아가 재판과정을 감시하는 입장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리고 이런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서 기존에 알지 못했던 재판상에서 재판당사자들이 받아야 하는 권리 등을 알 수 있어서 매우 유익했다. 재판과정을 9번에 걸쳐 보면서 느낀 점은 ‘판사’라는 사람들이 권위의식이 많이 사로잡혀있어서 씁쓸하다는 것이다. 물론 재판당사자를 존중해주고 그들의 말을 경청하는 판사도 있었지만 대다수의 판사들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한 활동은 언론모니터링이다.
언론모니터링 같은 경우, 특정 주제를 잡아서 언론을 분석하는 것도 있고, 사설분석, 뉴스 모니터링 등 다양한 활동이 있었지만 시중에 발행되는 일간지들의 성향을 분석하고 싶어서 10대일간지 사설분석을 하게 되었다. 각각의 신문사들이 기사를 쓸 때 어느 정도 자신의 의견을 내비치는 것이 맞기는 하지만, 10대일간지를 분석해본 결과는 정말 놀라웠다. 우리가 흔히 보수신문사라고 하는 조선,중앙,동아일보가 왜 보수신문인지 확실히 알게 해주었다. 같은 주제를 두고서도 그 입장은 확연히 달랐다. 이렇기 때문에 언론플레이, 언론왜곡 등 말이 나올 정도로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다시금 느꼈다.

비록 한번밖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세미나활동도 인상 깊었다.
‘세미나’라는 것 평소에 말만 듣고 정작 한 번도 참석해본 적이 없다. 세미나활동이 좋은 점은 내 자신의 공부에도 매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정말 공부도 하면서 봉사활동 하는 곳은 ‘법률소비자연맹’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약 2달이라는 기간 동안 봉사활동을 하였는데, 약간의 아쉬움이 남는다.
다른 기관의 봉사활동과 달리 ‘법률소비자연맹’의 봉사활동은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을 정하고 원하는 시간에 활동을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이 처음이다 보니 체계적으로 시간활용을 해서 활동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다음 학기에 다시 활동을 하게 된다면 그 때는 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