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사법 분야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한양대 신소재공학부 예정아
법률연맹
2009-07-21 00:00:00
546
나는 1학기 한양사회봉사로 법률소비자연맹의 프로그램 중 하나인 `법정 모니터링 및 법률 콘텐츠 조성`을 신청하여 봉사활동을 수행하였다. 고등학교 때부터 이과관련 공부를 해왔고 대학교도 공과대학에 진학하여 문과적인 지식이나 체험은 부족했고 이러한 체험을 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봉사활동에 더욱 기대를 가지고 임했던 것 같다.
내가 참여한 프로그램은 크게 세가지로 법정 모니터링, 언론 모니터링, 행정 봉사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법정 모니터링은 법원에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재판을 모니터링하면서 법정 서비스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이다. 나는 형사재판, 민사재판, 소액재판, 행정재판 이렇게 네가지 종류의 재판을 모니터링 해보았다. 처음에는 재판장에 들어간다는 것이 무섭고 주눅이 들어 괜히 이 봉사활동을 신청했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러나 법정모니터링을 계속 진행하면 할수록 내가 몰랐던 새로운 지식들, 예를 들어 법적인 지식이나 재판 상 간과하기 쉬운 절차 등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었고, 여러가지 재판에서의 피고와 원고의 변론을 제3자의 입장에서 들으면서 어떠한 사건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눈을 키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두번째 행정 업무는 말 그대로 직접 법률소비자연맹에 찾아가 연맹의 행정적인 업무를 돕는 일이었다. 나는 행정업무로 봉사자들이 연맹에 제출한 법정 모니터 용지를 분석하고 기록하는 일을 했는데, 어찌 보면 참 단순하고 기계적인 일이었지만 내가 분석한 것을 토대로 법정 서비스가 더욱 더 좋아지고, 나를 포함한 국민들이 법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불편함이 줄어드는 데 이바지한다는 생각에 뿌듯했던 것 같다.
마지막으로 언론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는 이슈/인물 분석, 개별신문 보도분석, 방송메인뉴스 분석, 일일 사설(논평)분석 등 여러가지가 있었고 나는 사설분석을 하게되었다.
사설분석은 10대 일간지의 사설을 분석하여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신문사별의 견해와 입장차이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이 되면서 여러가지에 치여 신문과 뉴스에 멀어지고 그에 따라 요즈음의 사회적인 이슈가 무엇인지, 또 그에 따른 나의 생각은 어떠한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 또한 어렵게 되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이슈화되고 있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접할 수 있어 좋았다. 또 그 동안 알게 모르게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던 내 모습을 반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도 내용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면서 나의 가치관을 확립시켜 나가는 데에 도움이 된 것 같다. 또 사설 분석을 하면서 내가 이제까지 가져온 선입견을 깰 수 있었다. 방송에서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으로 대표되는 보수적인 경향의 신문사와 한겨레, 경향신문으로 대표되는 진보 성향 신문사의 의견차이를 두고 많은 보도와 이슈화가 있었지만 정작 정보를 수용하는 사람인 나는 그런 차이에 대해 느끼지도 못했고 무심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에 10대 일간지를 사설을 분석하면서 보수 성향 신문과 진보 성향 신문사의 의견 차이를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의견 차이를 알게되면서 한 신문사의 사설을 통해서 수동적으로 정보를 얻기보다는 여러 신문사의 의견을 비교하고 분석하면서 내 자신만의 자아를 쌓아가고 나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의 방법과 중요성을 알았다.
이번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처음 신청할 때 생각했던 대로 내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사법 분야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내 자신의 의견을 세우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처음 시작할 때는 걱정이 앞섰지만 봉사활동이 모두 끝나고 보니 얻는 것이 더 많은 소중한 경험이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