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이번 봉사기회를 계기로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더욱 활발한-서울대 경제학부 윤선우

사회봉사1 과목을 수강하면서 나는 법률소비자 연맹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평소 법률 관련된 일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있었으나 직접적으로 연관 될 일이 없어서 매우 아쉬웠다. 그러한 가운데 법률 소비자 연맹이라는 비정부기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더욱 좋은 것은 학교 사회봉사 수업과 연계 되어 학생들에게 봉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전에도 NGO에서 인턴을 해 보기는 했지만 법정 모니터링이나 언론 모니터링과 같이 시민으로서 최전방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을 해 보는 것은 처음이었다. 특히 법정 모니터링은 평소에 대학생으로서 쉽게 할 수 있는 활동이 아니었고, 재판에 대해 막연하게만 인식하고 있었던 것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처음 민사재판정에 들어갔을 때는 법정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조차 어렵게 느껴졌다. 물론 많은 학생들이 법정 모니터링을 하고 있었지만, 혼자서 그렇게 엄숙한 곳에 들어가는 것이 힘들게 느껴졌다. 그러나 일단 발을 디디고 들어가서 자리를 잡고 앉으니 학교에서 들었던 민법 수업들이 생각나기 시작했다. 생각보다 흥미진진하게 진행되는 민사재판은 지루할 것이라 예상했던 나의 생각과는 정 반대였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이 실제로 필드에서 사용되는 현장을 보자 하니 왠지 모를 뭉클함이 느껴질 정도였다. 또한 재판정에 앉아서 사건을 경청하는 판사의 태도 역시 매우 엄숙하고 진지하였다.
형사 재판은 더욱 격렬했다. 민사 재판이 다소 안정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던 반면 형사재판은 증거사진 제시, 녹취 사항 청취 등 매우 역동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피고와 원고가 격렬하게 말싸움을 하거나 검사와 변호사 간의 신경전 등은 민사 재판과 사뭇 다른 느낌을 주었다. 같은 법원에서 이루어지는 재판이더라도 이렇게 성격이 다르다는 것 역시 느끼게 되었다.
또 하나는 언론 모니터링이었다. 평소에 신문을 자주 읽기 때문에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 생각했다. 특히나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탤런트 장자연 자살 사건’에 대해 우리나라의 보수와 진보적 어조를 가진 양 언론사를 비교하는 것이었는데, 평소에 생각으로만 하던 어조와 태도차이를 하나하나 분석을 하니 그 차이점을 더욱 극명하게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사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라든지 구조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점을 내 스스로의 관점에서 한 번 도 조명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었다.
사회과학도로서 사회현상에 대한 시각과 스스로의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법률연맹에서의 봉사활동은 내가 봉사를 한다는 것에서 의미가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였다. 그랬기에 더욱 보람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번 봉사 기회를 계기로 하여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더욱 활발한 관심과 활동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