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해 새로운 눈을 뜰수있는 계기가-경희대 경제 윤태원
법률연맹
2009-07-21 00:00:00
704
법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던 차에 친구로부터 소개를 받아 법률소비자 연맹이라는 곳을 알게 됐다. 봉사활동을 하기로 결심을 하고 참가한 오리엔테이션에서 김대인 총재님의 강의를 들으며 법의 이념과 우리가 법을 대하는 마음가짐 등을 배울 수 있었다. 정부 보조금도 받지 않고 순수 민간 부문에서 조직이 운영되고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독립적 조직으로서 객관성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로 보였다.
법정 모니터링 첫째 날, 난생처음 서울 법원이라는 곳을 가보았다. 입구를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하는 검색대, 처음에는 그냥 들어가도 되는 건가 하는 위압감도 들었다. 하필 처음 선택한 법정도 형사 법정이었다. 법정안의 무거운 분위기, 변호인들조차 재판관에게 서서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며 판사 권력의 힘을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심판자로서의 재판관의 모습은 그렇게 첫날 강하게 나의 뇌리 속에 각인되었다.
둘째 날부터 슬슬 법원의 문제점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처음에 그토록 위압감을 받았던 검색대도 지키는 사람이 없는 경우도 종종있고 있다하여도 통과하는 사람을 유심히 검사하려고 하기보다는 책보고 휴대폰 만지작거리며 엉뚱한 짓 하고 있는 담당자를 보며 국민의 세금으로 비싼 돈 들여 설치했을 검색대가 처량하게 보였다.
판사들은 개인별로 재판 진행 방식이 천차만별이었다. 당사자들의 의견을 끝까지 들으려는 판사도 있는 반면 본인이 불필요하다 생각하면 가차 없이 말을 끊고 네, 아니오로만 대답하라고 요구하는 판사도 있었다. 검사도 마찬가지였다. 예의바른 검사도 많았으나 어떤 검사는 본인 보다 훨씬 연세 많으신 분에게 말귀 못 알아듣는다고 답답한 표정짓고 한숨쉬고 반말, 존댓말 섞어 쓰는 걸 보며 씁쓸했다.
4.29 재보궐 선거 모니터링도 색다른 경험이었다. 지역이 가까웠으면 유세현장도 직접가보고 했을 텐데 지역이 멀어서 인터넷으로만 모니터링을 할 수 밖에 없어 조금은 아쉬웠다. 물론 선거권을 가진지 오래되었고 투표도 여러 번 해봤지만 이번처럼 꼼꼼하게 공략을 확인해보고 유세현황을 보고 각 정당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기는 사실 처음이었다. 뉴스를 검색하고 모니터링을 해보니 무소속 위원들이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언론으로부터 관심을 받는 정도도 한나라당 소속위원이나 진보신당 소속위원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공식 홈페이지도 없이 다음에 개인 까페를 만들고 선거공약을 올리고 하는 걸보며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나마 다음에서 찾은 것도 다행이었던 것이 네이버에서는 관련 홈페이지조차 찾을 수 없었다. 당연히 까페 방문자수는 몇 명이 되지 않았다. 무소속 위원들은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적어도 중앙선거 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간략한 개인신상 정보만 올려놓을 것이 아니라 홈페이지도 알려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선거가 끝나도록 제목을 달아놓은 콘텐츠조차 제대로 관리가 안 되는 걸 볼 때 이러한 바람은 요원하게만 보인다. 선거 공약 콘텐츠에는 선거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까지도 3명의 후보 중 고작 1명의 선거 공약만이 덩그러니 올라와 있었다.
봉사활동을 통해 지금 까지 내가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해 새로운 눈을 뜰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만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이 곳을 통해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 끝으로 봉사활동에 대해 친절히 안내해주신 법률소비자연맹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
법정 모니터링 첫째 날, 난생처음 서울 법원이라는 곳을 가보았다. 입구를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하는 검색대, 처음에는 그냥 들어가도 되는 건가 하는 위압감도 들었다. 하필 처음 선택한 법정도 형사 법정이었다. 법정안의 무거운 분위기, 변호인들조차 재판관에게 서서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며 판사 권력의 힘을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심판자로서의 재판관의 모습은 그렇게 첫날 강하게 나의 뇌리 속에 각인되었다.
둘째 날부터 슬슬 법원의 문제점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처음에 그토록 위압감을 받았던 검색대도 지키는 사람이 없는 경우도 종종있고 있다하여도 통과하는 사람을 유심히 검사하려고 하기보다는 책보고 휴대폰 만지작거리며 엉뚱한 짓 하고 있는 담당자를 보며 국민의 세금으로 비싼 돈 들여 설치했을 검색대가 처량하게 보였다.
판사들은 개인별로 재판 진행 방식이 천차만별이었다. 당사자들의 의견을 끝까지 들으려는 판사도 있는 반면 본인이 불필요하다 생각하면 가차 없이 말을 끊고 네, 아니오로만 대답하라고 요구하는 판사도 있었다. 검사도 마찬가지였다. 예의바른 검사도 많았으나 어떤 검사는 본인 보다 훨씬 연세 많으신 분에게 말귀 못 알아듣는다고 답답한 표정짓고 한숨쉬고 반말, 존댓말 섞어 쓰는 걸 보며 씁쓸했다.
4.29 재보궐 선거 모니터링도 색다른 경험이었다. 지역이 가까웠으면 유세현장도 직접가보고 했을 텐데 지역이 멀어서 인터넷으로만 모니터링을 할 수 밖에 없어 조금은 아쉬웠다. 물론 선거권을 가진지 오래되었고 투표도 여러 번 해봤지만 이번처럼 꼼꼼하게 공략을 확인해보고 유세현황을 보고 각 정당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기는 사실 처음이었다. 뉴스를 검색하고 모니터링을 해보니 무소속 위원들이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언론으로부터 관심을 받는 정도도 한나라당 소속위원이나 진보신당 소속위원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공식 홈페이지도 없이 다음에 개인 까페를 만들고 선거공약을 올리고 하는 걸보며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나마 다음에서 찾은 것도 다행이었던 것이 네이버에서는 관련 홈페이지조차 찾을 수 없었다. 당연히 까페 방문자수는 몇 명이 되지 않았다. 무소속 위원들은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적어도 중앙선거 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간략한 개인신상 정보만 올려놓을 것이 아니라 홈페이지도 알려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선거가 끝나도록 제목을 달아놓은 콘텐츠조차 제대로 관리가 안 되는 걸 볼 때 이러한 바람은 요원하게만 보인다. 선거 공약 콘텐츠에는 선거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까지도 3명의 후보 중 고작 1명의 선거 공약만이 덩그러니 올라와 있었다.
봉사활동을 통해 지금 까지 내가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해 새로운 눈을 뜰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만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이 곳을 통해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 끝으로 봉사활동에 대해 친절히 안내해주신 법률소비자연맹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