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언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준-고려대 법학과 최영철
법률연맹
2009-09-22 00:00:00
1,026
법률연맹의 김대인 총재님은 ‘봉사활동은 베풀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기 위해 하는 것이다.’ 라고 늘 강조하신다. 정말 맞는 말이다. 강의실과 책에는 없는 살아 숨쉬는 진짜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주어지는 연맹활동은 이미 봉사활동이 아니라 수강료라도 내야 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지난 학기에 이어 다시금 법률연맹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된 것은 다소 힘들고 때로는 귀찮았지만 많은 것을 깨닫고 배울 수 있었던 지난 좋은 기억 때문이었을 것이다. 솔직히 지난 학기에 처음 봉사활동을 시작하면서는 법학전문대학원 입시를 위한 봉사활동 경력쌓기의 목적이 컸다. 그래서인지 다른 사회복지시설의 봉사활동과 달리 지나치다싶게 철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활동내용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평가하는 무척 깐깐해보이는 법률연맹의 시스템이 처음에는 부담스럽기도 하고 힘들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렇지만 막상 봉사활동을 해보다보니 법정모니터링에 대한 철저한 사전교육 없이는 법대생인 나조차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철저한 검증을 통해서만 비로서 실질적으로 사법감시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수집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법정모니터링을 통하여 법조현장을 체감하고 사법시스템의 문제점을 보고 들으면서 앞으로의 인생에 중요한 지침을 설정할 수 있었던 지난 학기에 이어 언론모니터링에 집중했던 이번 학기는 시민의 눈과 귀가 되어주는 언론의 실체 및 행태를 조사하고 연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언론에 대한 보다 공정하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됨으로써 시민사회의 성숙한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최근 일주일동안의 주요 10대 일간지의 모든 신문 사설을 이슈별로 분석, 요약하고 이를 비교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똑같은 사안을 가지고, 정반대의 평가를 하며 정반대의 여론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다양한 관점의 복수신문이 존재함으로써 시민들의 관점도 보다 다양화된다는 것은 민주주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라 생각되지만 한편으로는 언론기관의 왜곡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는 우려도 금할 수 없었다. 사회적인 이슈를 접하며 그에 대한 자신만의 입장을 고집하고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는 차이를 인정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비난하고 반목하게 되는 현 세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언론의 본질 즉, 절대적인 언론은 없으며 관점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며 이는 건전한 토론 문화를 거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대중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언론매체를 모니터링 해보는 것이 지름길인데 이번 신문모니터링을 통하여 우선 내 자신이 언론에 대한 보다 성숙한 식견을 키울 수 있어서 뿌듯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연맹을 통하여 이런 기회를 접하게 된다면 연맹이 추구하는 바와 같이 시민에 의한 언론 감시 활동이 활성화 되고 이에 따라 언론의 공정성도 점차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현재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용산 참사, 4대강 사업, 세종시 법 개정, 임진강 사태 등을 꼽을 수 있겠다. 이러한 이슈에 대한 각 신문사의 관점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언론이 이를 ‘왜곡’한다면 국론이 분열되고 사회적 혼란만 가중된다. 시민들의 공정성 감시활동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이다. 법률연맹 자원봉사자들이 보다 많이 언론모니터링에 참여하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