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벌써 두 번째 - 한양대 법과대학원 석사1기 김소연

벌써 두 번째 시즌도 막을 내리네요.
제가 처음 법률 연맹과 인연을 맺었던 올 봄, 그 때 저는 수년간의 수험생활로 인해 내가 꾸었던 꿈도 생각나지 않을 정도로 몸과 마음이 모두 지쳐있었습니다. 로스쿨 제도가 도입되었기에 갈 길을 달리 찾지 못한 동기들이 로스쿨에 가겠다고 리트를 준비하고 있던 시기였고 저 또한 미래를 위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던 때였습니다. 그 때 생각났던 곳이 법률 소비자 연맹이었습니다.

법률연맹에서의 봉사활동은 대학시절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꼭 한 번 해봐야겠다고 마음으로 생각만 했던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검색창에 법률 소비자 연맹을 치고, 일반인의 신분으로 자원봉사를 신청하였습니다.

지난 시즌 법원에서의 모니터링은 제가 새로움 꿈을 찾는 용기를 내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던 시기였습니다. 법학전공자임에도 불구하고 법원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던 저로서는 꼭 필요한 경험이었습니다. 봉사라기보다는 수업에 가까웠다고 생각합니다.
형사재판 중에 녹음을 하다가 청원경찰에게 불려나가서 재판이 중지되고 판사 분께 뭐하는 사람이냐는 질문을 들으면서 식은땀을 흘렸던 일도 이제는 추억이 되었습니다. 민사법정에서의 일도 생각나네요. 아들 뻘 되는 판사 앞에서 떨리는 목소리로 하소연 하시던 아주머님을 보면서 저는 이 땅의 시민이라면 꼭 한번 법정을 방문해서 재판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볼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당시 판사의 태도가 고압적이지는 않았습니다.) 법조계에서 좀 더 법률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서고자 한글화 작업, 배심원 제도 기타 다양한 수단을 통해 노력 중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울러 현대판 음서제도라는 비판과 기존 사법고시 합격생 및 준비생들과의 형평성 등으로 논란이 끊이지 않는 로스쿨제도이지만, 어쩌면 이런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해낼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시즌에 이어서 다른 나라의 헌법을 번역한 작업 역시 제게는 큰 배움의 장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헌법과 미국의 헌법이외에는 접해 본적이 없던 터라 번역 과정에서 조문 하나하나 뜯어볼 수 있었던 시간들은 그 자체가 수업과도 같았습니다.

다른 봉사자들과 센터 이전을 도왔던 일도 제게는 선물이었습니다. 얼굴도 이름도 몰랐던 이들과 땀을 흘리고 나니 새로운 인연이 생겼습니다.
첫 번째 시즌과는 다른 선물을 받은 두 번째 시즌은 또 하나의 추억이 되었습니다. 이번 가을은 개인적으로 일이 참 많을 것 같지만, 저는 또 다른 선물을 받고자 법률소비자 연맹의 문을 두드리게 될 것 같습니다.

넉넉하지 않은 재정 상황 속에서도 밝은 사회에 대한 소망 하나로 서로 도와가며 열정적으로 일하시는 연맹 관계자 여러분들의 모습에서도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제게 이런 배움의 기회를 선물해 주신 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이만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