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내 일생의 좋은 기회 - 이화여대 경영학과 손주리
법률 소비자 연맹이라는 시민 단체를 선택한 것은 제 일생에 있어서 좋은 기회가 된 것 같습니다. 단순히 1학점 짜리 사회 봉사 교과목을 듣는 데에 그쳤던 것만이 아니라 제가 여태껏 모르고 살아 왔던 시민 단체의 역할과 그들의 노력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 학기 동안 법률 소비자 연맹과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면서 역시 어려 가지를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국정 감사 모니터링을 하면서 우리나라의 국정 감사가 현재 어느 수준에 와 있는지를 단편적으로 알 수 있었고, 법정 모니터링을 하면서 역시 같은 것을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먼저 오리엔테이션에서 받은 법률에 대한 교육은 법과는 관련이 적었던 제 인생에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시민단체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었고, 법과 사회를 바로 알아야 나와 사회를 지킬 수 있다는 것을 절실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이 법과 관련된 실정이 매우 열악하다는 것도 처음 알았고 이를 법률 소비자 연맹에서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에 대해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 국정 감사 장면을 지켜보면서 들었던 생각을 이야기 하자면, 피 감사기관과 국회의원들간의 1년에 한 번 갖는 감사 자리가 매우 형식적으로 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국회의원들이 밤새워 조사한 자료들로 피감사기관을 공격을 한다고 해도 그것이 국정 감사 당일에만 조금 영향력이 있을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협과 같은 경우(국회의원들의 말을 듣자 하니) 작년 국정 감사 때 지적된 내용이 올해 국정 감사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은 점이 많았다고 하고, 다른 피감사기관 역시 그 자리에서 모면하려고만 하는 자세를 보여준 것 같습니다. 또, 국회의원 중에서는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고 출석을 하여서는 다른 사람이 질문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질문을 창조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또, 감사장 안에 앉아있는 국회의원 수는 2~3명 정도가 모니터에 잡힐 정도였으니, 감사기관과 피감사기관 모두가 너무 형식적인 국정감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여졌습니다. 이러한 것을 봉사활동이 아니면 접할 기회가 전혀 없을 것인데, 이번 기회로 국회의원들이 직접 질문하는 모습들을 관찰 할 수 있어서 매우 도움이 많이 된 것 같습니다.

국회에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 일단 새로웠고, 국회의원의 감사 현장을 TV로나마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신선하였습니다. 하지만, 모니터실에서 TV를 볼 때에는 열악한 시설로 인해 매우 신경이 날카로워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6대의 TV를 모니터요원들이 각자 TV 앞에 앉아서 감사 내용을 보며 받아 적고 있을 때, 다른 사람이 보는 TV 소리가 너무 시끄러워서 볼륨을 서로 높여야 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어폰 6개만 갖다 놓으면 이런 일이 없었을 텐데 약간 준비가 미흡했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두 개의 피 감사기관 밖에 모니터를 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국정감사가 열리는 시간이 수업시간과 겹치는 10시~5시 사이이고 여의도의 국회는 집과도, 학교와도 거리가 꽤 걸리기 때문에 시간이 아주 비는 날이 아니면 아예 갈 수가 없다는 점에서 어쩔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법정 모니터링은 한 번 밖에 하지 못하였지만, 역시 느낀 것이 많았습니다. 먼저 우리 나라의 재판의 상황의 열약성을 느낄 수가 있었는데, 재판 하나 하나가 매우 짧은 시간에 걸쳐 진행되고 재판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에서 좀 실망을 하였습니다. 아마 외국에도 비슷한 상황이 재연될 거라고는 생각하지만 아무튼 재판 하나 하나에 성의를 좀 가지고 임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 법률 소비자 연맹 봉사활동은 저에게 시민단체라는 개념과 역할에 대해서 깨우쳐주었고, 또 법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서도 알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감회가 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