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소감문

시험에 합격한 후 제 길을 찾는데 있어 길잡이 홍&#9711준 광운대학교 법학부
법학부 학생으로서 한번쯤 법과 관련된 활동을 해보고 싶었는데 지금이 아니면 언제 할 수 있을까 싶어서 친구의 추천을 받아 바로 법률소비자 연맹 봉사활동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처음 신청할 때는 재택으로 하는 활동도 있어서 여유롭게 학업과 병행하며 쉽게 봉사시간을 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아니었습니다. 저는 법정 모니터링과 판결문 리서치 봉사를 하였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법정과 판결문을 깊이 있게 분석해야 했습니다. 수험생의 입장에서 처음에는 공부와 병행하기 조금 부담스럽기도 했지만 봉사가 끝난 지금 그 깊이 있는 분석이 다 의미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먼저 서울북부지방법원, 서울행정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에서 법정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법원에는 처음 가봤고 법원에서는 항상 재판이 진행 중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가니 그 넓은 법원에서 재판중인 법정은 몇 개 되지 않았고 예상치 못하게 재판 일자가 바뀌거나 휴정을 하는 경우도 많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재판은 드라마에서 본 것처럼 격정적이지 않고 제출된 서면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도 신기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사자 혹은 대리인이 재판 중 적극적으로 본인의 주장을 펼치는 모습을 많이 보지는 못했지만 피고(인)들과 소통하며 재판을 준비하던 몇몇 변호사들의 모습은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누군가의 대리인이라는 것에 얼마나 큰 사명감과 자부심을 갖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변호사들이 부럽기도 했고 이 부러움이 ‘나도 지금 내 자리에서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 마음먹게 하는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저는 1심과 항소심을 모니터링 했는데 대법원에 가보지 못한 것에 조금 아쉬움이 남습니다.

판결문 리서치는 법정 모니터링과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봉사였습니다. 제가 관심 있는 분야와 관련된 판결문을 골라 리서치할 수 있었던 점이 정말 좋았습니다. 판결문 리서치를 하면서 공부가 저절로 되었고 기억에도 더 잘 남는 것 같습니다. 저는 최근 근로기준법과 사회보험법을 공부하면서 그 분야에 관심이 많아져 근로기준법, 사회보험법과 관련된 판결문들을 리서치 했습니다. 그동안 판결문을 읽으면서는 결론만을 확인하는데 급급했습니다. 판결문 리서치를 하면서 처음으로 판결 요지라는 부분을 확인했는데 판결 요지를 읽으면서 그냥 읽고 지나쳤던 법조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판결은 당연히 존재하는 법조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역시 판사들은 더 나아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보다 심도 있게 판결을 내리는구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역시 단순히 법조문 공부를 한 것만으로는 실무에서 많이 부족하겠구나 느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비록 처음 결심했던 것에 비하면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는 못했지만 그 시간에 비하면 얻어가는 것들이 정말 많은 봉사활동이었다고 자부합니다. 저는 공인노무사가 되기를 꿈꾸고 있습니다. 아직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1차 합격조차 하지 못한 상태이지만 수업 중 강의를 해주시는 노무사님들로부터 실무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중에 나는 어떤 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노무사가 되면 좋을까 가끔 생각합니다. 법률소비자 연맹에서의 활동이 시험에 합격한 후 제 길을 찾는데 있어 길잡이가 되어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더 뜻깊은 봉사활동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