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윤준병의원실-20251003] [윤준병 의원 국정감사 보도자료]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심각, 5년간 478억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심각, 5년간 478

피해예방을 위한 지원 늘리고 방지장비 개발·공급해야-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유해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액만 430, 연평균 95억으로 농가 시름 깊어

피해 작물은 채소류, 사과, 벼 순으로 특히 사과 피해는 증가 추세이며, 멧돼지 피해가 가장 심각

유해야생동물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방지시설 설치 비용 지원 늘리고 방지 장비 등 개발해 공급해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 윤준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야생동물로 인한 작물의 피해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액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총 478억을 웃돌아 매년 평균 96억원 정도에 달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01062200만원 2021934900만원 2022871200만원 2023958200만원 2024954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물별로는 채소류의 피해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사과, , 배 순이었다. 채소류는 5년 동안 947500만원, 사과는 872500만원, 벼는 48900만원, 배는 171200만원이었으며 최근 사과는 2022141400만원에서 2024244400만원으로 그 피해액이 대폭 늘었다.

 

피해는 특히 농촌지역에서 더 두드러졌다. 가장 피해가 큰 지역은 강원도로 피해 규모가 5년 동안 총 1018500만원에 달했다. 2022년에는 138500만원이던 피해가 2024년에는 324700만원으로 거의 60% 가까이 증가했다. 뒤를 이어 경북 716600만원, 충북 513000만원, 전북 501400만원 순이었다. 반면 광주 2900만원, 부산 7800만원, 대전 9100만원, 세종시 16000만원에 불과했다.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은 멧돼지, 고라니, 까치 등의 순이었다. 지난 5년 동안 멧돼지에 의한 피해가 3003800만원으로 가장 컸고, 다음으로 고라니에 의한 피해액이 687100만원, 까치로 인한 피해액이 296900만원에 달했다.

 

야생동물에 대한 피해 예방과 지원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로 이원화되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야생동물로부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방조망, 전기울타리, 조수퇴치기 등 야생동물 방지시설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러한 지원은 과수품목에 한정되어 있으며, 지원예산은 과수 고품질 시설 현대화 사업에 편성되어 있다. 이마저도 국비·지방비로 50%를 보조하고, 30%의 융자(이차보전)를 받을 수 있지만 20%는 농가가 부담해야 한다. 또한 농작물 재해보험에 가입해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10ha 이상의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해야만 가능하다.

 

환경부는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를 집계하고 피해를 지원하고 있다. 신체상해는 최대 500만원, 사망한 경우에는 최대 1천만원, 농작물 피해는 피해액의 80% 이내에서 최대 500만원까지 피해를 보상하고 있다.

 

윤 의원은 농식품부에서 유해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방지시설 설치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피해는 전혀 줄어들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유해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고, 침해가 발생하기 전에 집중적으로 포획하며, 예방예산을 증액해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의원은 앞으로도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는 계속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농촌진흥청에서 야생동물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비 등을 개발·공급함으로써 농가의 시름을 덜어주어야 하며, 국회의원으로서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해 대안을 찾아볼 것이다고 밝혔다. <>

 

 

 

 

첨부 : 최근 5년간 야생동물 피해 현황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