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박용갑의원실-20250908] 윤석열 정부 주거 정책 분석 – 주택 공급 부실 尹 정부 기간 LH 공공택지 공급 연평균 30만 평 감소, 공공택지 미매각 9만 평 증가, 해약 35만 평 발생

 

윤석열 정부 주거 정책 분석 주택 공급 부실

정부 기간 LH 공공택지 공급 연평균 30만 평 감소, 공공택지 미매각 9만 평 증가, 해약 35만 평 발생

- 군포·남양주·안산·하남·영종 등 수도권 공공택지 5만 평도 미매각

- 30개 공공택지 분양대금 4,130억 원 연체 2만 호 공급 가능한 45개 공공택지 해약

- 박용갑 의원 정부, LH가 공공택지 직접 시행하도록 전환하여 주택 신속 공급해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공택지 공급 현황을 분석한 결과 LH는 주택 공급을 위한 공공택지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2869,000(87만 평)씩 공급했으나,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연평균 1886,000(57만 평)가 공급되며, 공공택지 공급 실적이 연평균 983,000(30만 평)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 특히, LH는 정부가 20183기 신도시 계획등 공급 대책을 발표하며 아파트 공공택지 공급면적은 20172185,000, 2018248, 2019286, 20203095,000(97만 평)로 매년 증가했으나, 2022년에는 1531,000(46만 평), 20231338,000(40만 평), 20241548,000(47만 평)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아파트 공공택지 공급이 대폭 감소했다.

 

<>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택지 공급 현황 (단위 : , 억 원)

구분

17

18

19

20

21

평균

22

23

24

평균

증감

아파트

2,185

2,480

2,860

3,095

1,345

2,393

1,531

1,338

1,548

1,631

-762

임대

687

323

49

99

-

290

47

70

-

135

-154

주상복합

471

144

86

210

20

186

180

111

100

119

-67

3,344

2,947

2,996

3,404

1,365

2,869

1,758

1,519

1,648

1,886

-983

출처 :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급토지명세서 분석

 

반면, LH가 민간에 매각하지 못한 공공택지는 20173435,000(104만 평), 2018280(85만 평), 20192648,000(80만 평), 20202404,000(73만 평), 20211923,000(58만 평), 20221027,000(31만 평)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미매각 공공택지가 309,000(9만 평) 증가하며 20241336,000(40만 평)를 기록했다.

 

- 특히, 경기 군포시와 남양주시, 안산시, 하남시, 인천 영종도 등 수도권에서도 아파트와 주상복합을 공급할 수 있는 공공택지 9(166,084, 5만 평)도 매각되지 않았다.

 

- 이에 LH는 미매각 공공택지 판매 촉진을 위해 2024년부터 토지리턴제, 무이자 할부판매 제도, 거치식 할부판매 제도 등을 도입했으나, 판매촉진 정책 대상이 된 미매각 공공택지 49개 중 현재 매각된 것은 11개로 22.4%에 불과했다.
토지리턴제 : LH에서 토지를 매수한 사업자가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리턴권을 행사하면 LH가 계약금을 포함한 납입 원금 전액을 돌려주고 계약을 해제하는 제도

 

<> 한국토지주택공사 미매각 공공택지 현황 (단위 : , 억 원)

구분

17

18

19

20

21

22

증감

23

24

증감

면적

3,435

2,800

2,648

2,404

1,923

1,027

-2,408

1,017

1,336

309

금액

47,581

33,830

31,288

30,763

38,508

17,374

-30,207

19,000

32,208

14,834

출처 : 한국토지주택공사 미매각 토지 현황

 

또한, LH 공공택지 분양대금 연체 사업장은 30개로 연체금액은 4,130억 원으로, 특히, 남양주 양정역세권 S-03은 계약금 2,568억 원 중 462억 원이 12개월간 연체되어 연체액이 가장 많았고, 성남 복정1 B1은 계약금 1,692억 원 중 381억 원이 6개월간 연체되었으며, 인천 영종 A16은 계약금 1,443억 원 중 325억 원이 17개월간 연체됐다.

 

- 이에 양주 회천(1)파주 운정3(6), 화성 동탄2(5), 인천 영종(10) 등에서 해약이 속출하면서 2022년부터 20257월까지 주택 21,612호 공급이 가능했던 1163,244(35만 평) 규모 45개 공공택지 계약이 해약됐다.

 

박 의원은 정부가 공공택지를 활용하여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국민 주거 안정을 실현할 수 있다면서 공공택지를 민간 건설사에 매각하여 주택을 공급하려고 했던 지난 정부의 공급 정책이 사실상 실패한 만큼, 민간 의존도를 낮추고, LH가 공공택지를 직접 시행하도록 전환하여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