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
서울시, 철도차량 298칸 전량 미납한 다원시스와 9호선 24칸 395억에 또 계약
- 평가위원 ‘납품 지연 누락, 인증서 유효기간 초과, 공정·품질계획 구체성 미비’ 우려
- 다원시스 신용평가등급 현대로템보다 낮았으나, 재무상태평가 점수 똑같이 9.4점 받아
- 박용갑 의원 “서울시 9호선 전동차 계약 이유 밝히고, 구매 계약 방식 개선해야”
○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도시철도 5·8호선 전동차 298칸의 납기 기한이 지났음에도 전량 미납하고, 선금 588억 원의 사용내역을 제출하지 않은 다원시스와 2024년 12월 26일 도시철도 9호선 24칸 제작 구매 계약을 395억 4,797만 원에 또 계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서울 도시철도 9호선 전동차 24칸 제작 구매 기술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현대로템은 정성부분 70.9점, 정량부분 21.4점 등 92.3점을 받았고, ▴다원시스는 정성부분 63.8점, 정량부분 21.9점 등 85.7점으로 6.6점 낮았으나, 서울시가 사업 대상자로 최종 선정한 것은 다원시스였다.
○ 그러나, 박 의원이 다원시스가 제출한 입찰제안서의 정성부분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평가위원 7명 중 상당수는 ▴납품 지연 실적 누락, ▴주요 장치 인증서 유효기간 초과, ▴공정계획·품질계획 구체성 미비 등으로 인하여 우려한 것으로 확인됐다.
<표> 다원시스 서울시 도시철도 9호선 전동차 24칸 제작 구매 입찰제안서 정성평가 주요 의견
평가위원 | 평가내용 |
A | ▴공급확약서 제출업체의 사용실적 3번 인정 어려운 부분 있음. 각종 산출자료 미비, ▴납품지연 편성 수 자료 미제출로 생산능력 평가 불가, ▴공정계획·품질계획 구체성 미비 |
B | ▴전동차 제작 시 필요한 기술력 확인이 증빙자료가 입찰제안서로 확인이 어려움 |
D | ▴납품지연 실적 누락 |
E | ▴주요 장치 인증서 유효기간 초과, ▴기존 9호선 차량과의 호환을 위한 구체적 방안 미제시, ▴주요 장치 공인인증서와 검사성적서, 평가보고서 혼재·혼용 |
G | ▴규격서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어떤 근거로 만족시킬 수 있는지 구체적 내용 필요 |
H | ▴주요장치 공급능력, 설계계획 수립, 본선 시운전 계획 등에 대한 의문 |
※ 출처 : 서울시 제출자료
○ 서울시가 정량부분 재무상태평가 과정에서 다원시스의 점수를 부풀린 정황도 확인됐다.
- 서울시는 행정안전부 예규 제324호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 등에 따라 사업 대상자의 최근 1년 이내 신용평가등급에 따라서 점수를 차등 부여해야 한다.
- 그런데, 박 의원이 한국평가데이터와 NICE신용평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현대로템은 2024년 12월 19일 A0 등급을 받았고, ▴다원시스는 2024년 11월 18일 BB- 등급을 받아 차이가 있었지만, 서울시는 재무상태평가에서 두 회사 모두에게 차이 없이 9.4점을 줬다.
<표> 서울시 도시철도 9호선 전동차 24칸 제작 구매 관련 다원시스-현대로템 정량부분 평가 점수표
다원시스 정량부분 평가 점수표 | 현대로템 정량부분 평가 점수표 |
| |
※ 출처 : 서울시 제출자료
<표> 서울시 도시철도 9호선 전동차 24칸 제작 구매 관련 신용등급 평가 이력
다원시스 신용등급 평가 이력 | 현대로템 신용등급 평가 이력 |
| |
※ 출처 : 한국평가데이터 현대로템·다원시스 정밀기업신용분석보고서
○ 문제는 다원시스가 재무상태평가에서 9.4점이 아닌 BB- 등급 평점 기준에 따라 8.6점을 받았을 경우, 기술평가 점수가 85.72점이 아닌 84.92점으로 감소하여 기술평가 최저 점수인 85점을 넘기지 못해 ‘부적격’ 판정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 박 의원은 “2016년 이후 서울시 도시철도 전동차 2,153칸 구매 계약을 전수조사한 결과, 현대로템·우진산전의 공정률 달성률은 100%에 가까웠지만, 다원시스의 공정률 달성률은 73.2%로 매우 낮았고, 미납 전동차도 532칸으로 가장 많았다”며 “서울시 국정감사를 통해 서울시가 다원시스와 다시 계약한 이유를 밝히고, 향후 9,744억 원 규모의 6,7호선 전동차 구매 시 부실 계약이 없도록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끝>
<표> 서울시 및 서울교통공사 2016년 이후 철도차량 계약 현황 (단위 : 억 원, %, 칸)
구분 | 계약명 | 계약자 | 계약금 (억 원) | 제작 공정률 (%) | 철도차량 납품실적 (칸) | ||||
목표 | 실적 | 달성률 | 목표 | 납품 | 미납 | ||||
2016년 | 신림선 36칸 | 우진산전 | 645 | 사업완료 | 36 | 36 | - | ||
2016년 | 9호선 32칸 | 현대로템 | 380 | 사업완료 | 32 | 32 | - | ||
2017년 | 2호선 214량 | 현대로템 | 1,873 | 사업완료 | 214 | 214 | - | ||
2017년 | 9호선 24칸 | 현대로템 | 271 | 사업완료 | 24 | 24 | - | ||
2018년 | 2,3호선 196량 | 다원시스 | 1,490 | 사업완료 | 196 | 196 | - | ||
2019년 | 5,7호선 336량 | 우진산전 | 3,820 | 사업완료 | 336 | 336 | - | ||
2019년 | 8호선 54칸 | 우진산전 | 773 | 사업완료 | 54 | 54 | - | ||
2020년 | 4호선 210칸 | 다원시스 | 3,073 | 100% | 98.4% | 98.4% | 210 | 200 | 10 |
2020년 | 9호선 48칸 | 현대로템 | 850 | 사업완료 | 48 | 48 | - | ||
2021년 | 5,8호선 298칸 | 다원시스 | 3,733 | 100% | 21.8% | 21.8% | 298 | - | 298 |
2022년 | 4호선 260칸 | 우진산전 | 3,081 | 97.7% | 97.3% | 99.6% | 260 | 200 | 60 |
2023년 | 5,7호선 216칸 | 다원시스 | 2,190 | 50.2% | 22.9% | 45.6% | 200 | - | 200 |
2025년 | 1,4,8호선 220칸 | 우진산전 | 2,866 | 11.7% | 10.9% | 93.1% | 220 | - | 220 |
2025년 | 9호선 24칸 | 다원시스 | 395 | 5.7% | 5.7% | 100% | 24 | - | 24 |
다원시스 계 | 10,881 | 71.2% | 49.8% | 73.2% | 928 | 396 | 532 | ||
우진산전 계 | 11,185 | 81.9% | 81.6% | 98.5% | 906 | 626 | 280 | ||
현대로템 계 | 3,374 | 100% | 100% | 100% | 318 | 318 | - | ||
계 | 25,440 | 83.2% | 75.5% | 89.9% | 2,153 | 1,340 | 812 | ||
※ 출처 : 서울시 및 서울교통공사 제출자료 재가공
<표> 서울시 향후 노후전동차 교체사업 추진 계획(안)
구분 | 계약명 | 재원 비율 | 비고 | 예산 (억 원) | ||
국비 | 지방비 | 공사 | ||||
10차 | 도시철도 6,7호선 368칸 | 25% | 37.5% | 37.5% | 중앙투자심사 완료 (2025년 발주 예정) | 5,152 |
11차 | 도시철도 6,7호선 328칸 | 25% | 37.5% | 37.5% | 국고보조금 분담 협의 및 중앙투자심사 의뢰 예정 | 4,592 |
계 | 9,744 | |||||
※ 출처 : 서울시 제출자료 재가공